|
중 국 92년 중국의 합성수지 총 수입량은 340만톤으로 이중 한국이 39만톤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중국의 수출환경 변화에 따른 적절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92년 중국의 5대 범용수지 수입현황을 보면 PE 141만7670톤, PP 63만9250톤, PS 64만6760톤, PVC 23만9320톤, ABS 45만5630톤 등 339만8630톤으로 나타났다. 이중 PE가 4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PS 19%, PP 18.8%, ABS 13.4%, PVC 7% 순으로 나타났다. PE는 홍콩 및 홍콩을 경유한 수입이 28만7000톤으로 20%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이 24만1400톤으로 17%를 보이고 있다. PP도 역시 홍콩이 16만8450톤으로 26%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이 14만3670톤 22.5%, 한국 9만9400톤 15.5% 순으로 나타났다. PVC는 홍콩이 15만4200톤 64.4%로 독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4000톤에 불과한것으로 나타났다. PS도 홍콩이 전체 64만6700톤 중 51만1000톤으로 80%를 차지, 독점하고 있으며 일본 3만6000톤, 대만 3만1000톤, 한국 2만6730톤으로 한국의 PS 시장점유율은 4.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ABS도 홍콩이 34만톤으로 총 45만5600톤 중 75%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1만1600톤으로 불과, 2.5% 점유에 그쳤다. 표, 그래프 : | 중국의 5대 범용수지 수입실적(1992) | 중국의 수출입 품목 분류 | 중국의 5대 합성수지 수입추이 | 중국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중국의 PVC/VCM 수급 추이 | 일본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일본 PVC/VCM/EDC 수급 추이 | 대만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대만의 PVC/VCM/EDC 수급 추이 | 아시아지역 ABS 생산능력 현황 | 아시아지역 PS 생산능력 현황 | 인도네시아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싱가폴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타이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필리핀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말레이지아의 폴리올레핀 수급 추이 | <화학경제 1993/8/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컴파운드 일원화한다! | 2025-10-13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합성수지 침체 심각 | 2025-02-04 |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
| [화학무역] 합성수지, 인도네시아 수출 “혼란” | 2023-03-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