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ㆍ인디아 대형 소비시장 부상 … 선진국은 친환경제품 수요 증가 사양산업으로 여겨졌던 아시아 섬유산업이 제품 첨단화와 역내 중산층 증가에 힘입어 되살아나고 있다.최근 스위스 바젤에 있던 본사를 싱가폴로 이전한 HTE(Huntsman Textile Effects)의 폴 헐미 사장은 “아시아 섬유산업이 바뀌고 있다”면서 노동력 착취와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벗어나 친환경 첨단 제품으로 이미지가 변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과 인디아에서는 아직도 열악한 시설에서 노동력을 착취해 저가 제품을 만들고 있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친환경ㆍ첨단화로 기울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폴 헐미 사장은 아시아의 중산층이 늘어나고, 선진국에서 친환경 섬유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섬유시장의 호조를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HTE는 주력시장인 섬유 염색시장이 2008년 160억달러에 달했으며 45% 가량을 아시아가 소화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방글라데시 및 인디아가 주요 섬유 생산국인 동시에 주요 소비국으로도 부상했다면서 파키스탄 및 서남아도 섬유시장에서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HTE는 자동차 시트와 파라솔 등 고부가가치 완제품과 자외선 차단 섬유, 그리고 세탁이 용이해 오염이 덜한 친환경 섬유 등 첨단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내화성을 강화한 기능성 섬유도 건설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의료용 섬유도 유망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섬유 시장은 앞으로 10년간 연평균 20% 가량 신장할 것으로 예상돼 아시아 섬유기업들은 첨단화에 매진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9/10/0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DPE, 아시아 전역서 약세 흐름… | 2025-05-07 | ||
[제약] 제약사업, 아시아 떠나 북미 집중 | 2025-04-29 | ||
[석유화학] 벤젠, 아시아 부진에 하락세 이어져 | 2025-04-24 | ||
[올레핀] 2-EH, 아시아 공급과잉 장기화 | 2025-04-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말레이지아, 동남아시아 경제성장 주도 롯데케미칼은 부진 장기화… | 2025-04-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