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성균관대 고품질 그래핀 합성 … 실리콘ㆍ플래스틱에도 활용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을 상온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됐다.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성균관대 화학과 이효영 교수팀은 상온 공정으로 불순물이 없는 고품질의 그래핀을 합성하는데 성공해 대량 생산의 가능성을 열었다. 실리콘(Silicone) 등 딱딱한 재질의 기판뿐 아니라 휘어지는(Flexible) 플라스틱 기판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탄소로 이루어진 흑연(Graphite)은 층상 구조로 한 층씩 벗겨낼 수 있는데 흑연 단층만을 벗겨낸 단 원자층 흑연을 2004년 처음으로 분리해낸 이후 그래핀을 생산하는 방법은 현재 4가지로 스카치테이프 방법, 화학증착법(CVD), 실리콘 카바이드 절연체를 이용한 에피택셜(Epitaxial) 방법 및 환원제를 통한 화학적 방법 등이다.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은 환원제를 이용한 방법인데 다른 3가지 방법에 비해 불순물이 남는 등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환원제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됐고 그 중 하이드라진 방법이 널리 사용됐지만, 여전히 고온 공정이고 불순물이 남는 등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했다. 그래핀은 육각형의 탄소화합물로 실리콘에 비해 100배 이상 전자를 빨리 이동시키고 휘거나 비틀어도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으며 구리보다 100배 더 많은 전류가 흐르고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단단해 지금보다 수백 배 이상 빠른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차세대 전자소재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셀로판지처럼 얇은 두께의 컴퓨터 모니터나 시계처럼 찰 수 있는 휴대폰, 종이처럼 접어 지갑에 넣고 휴대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을 만들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래핀 양산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 전문지 Nature의 자매지 Nature Communication 9월22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0/09/2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노루페인트, 첨단 신소재 양산 | 2025-03-07 | ||
[배터리] LG화학, 열폭주 차단 신소재 개발 | 2024-10-02 | ||
[반도체소재] 센서, 신소재 결합으로 광검출 확장 | 2024-05-30 | ||
[금속화학/실리콘] LS전선, 동박용 신소재 양산 추진 | 2024-03-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소재, 차세대 프로세스로 전환 일본, 신소재 개발 가속화 | 2024-10-0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