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공장에서 태양전지용 양산 성공 … 2013년까지 1만4500톤으로 확대
화학뉴스 2011.04.13
한국실리콘(대표 윤순광)이 태양전지용 고순도 폴리실리콘(Polysilicone) 생산에 성공했다.
폴리실리콘 생산에 필요한 최첨단 공정기술과 생산설비 공급기업인 PPP(Poly Plant Project)에 따르면, 한국 실리콘이 여수공장에서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설계용량 대로 생산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Neo Solar Power와 1만1000톤의 장기공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실리콘은 2010년 2월 준공한 여수 소재 폴리실리콘 제1공장에서 순도가 99.99999% 이상인 태양전지용 폴리실리콘 생산에 성공했다. 제1공장은 고순도 폴리실리콘 메이저로 거듭나기 위한 첫 단계로 생산능력이 3200톤에 달하며, 2013년까지 1만4500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1공장은 직접염소화 반응으로 개량형 씨맨스 공법을 채용하고 있는데, PPP는 관련 공정기술 패키지와 공장에 설치된 핵심 설비의 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PPP가 제공한 패키지에는 폴리실리콘의 생산에 필수원료인 삼염화실란(TCS)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유동층 반응기의 설계도 포함돼 있다. 또 PPP의 대용량 화학증착 반응기는 고순도의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기 위해 고온을 이용하는 STC-TCS 전환장치와 연계돼 화학증착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STC를 효율적으로 TCS로 전환시켜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윤순광 한국실리콘 회장은 “세계적인 폴리실리콘 생산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를 본궤도에 올려 놓았다”며 “ PPP로부터 공정기술과 핵심장비를 제공받아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최단기간에 설계용량 대로 생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한국실리콘은 2008년 1월 설립된 이후 태양에너지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고우리 기자> <화학저널 2011/04/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SK지오센트릭, 고순도 PP 추출 확대 | 2023-10-06 | ||
[배터리] 에코프로, 고순도 수산화리튬 증설 | 2023-02-14 | ||
[첨가제] 용제, 고순도 리사이클 확대 | 2023-02-09 | ||
[바이오연료] 중국, 고순도 수소 생산 박차 | 2023-01-30 | ||
[금속화학/실리콘] 초고순도 수산화리튬 국산화 성공 | 2022-12-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