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reat Lakes > 2, 4,6-TBP 규제 반발
|
최근 EPA가 난연제에 사용되는 2,4, 6-Tribromophenol 제조시 독성물질이 발생해 이 제품을 위험물질로 분류하겠다고 결정하자 Great Lakes Chemical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EPA는 98년 5월4일 Organobromine 폐기물이 위험물질을 방출시켜 새로운 위험물질 목록에 분류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 목록에 들어갈 경우 2,4,6-TBP는 RCRA(Resource Conservation and Recovery Act)의 규제를 받아야 하며, 상업 화학제품 리스트에도 위험물로 표기되어야 한다. 또 매립 등의 방식으로 폐기처분할 때 독성물질을 줄이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Great Lakes는 West Lafayette 소재 미국 유일의 2,4,6-TBP 제조기업이다. 2,4,6-TBP는 난연제로 사용된다. 이에 Great Lake는 EPA의 이같은 결정이 정당하지 않다며 98년8월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 Great Lakes는 과학적 분석을 통한 2, 4,6-TBP의 독성 데이터를 제시해 무해성을 주장할 계획이다. EPA는 2,4,6-TBP 유해성을 증명하기 위해 SAR(Struture Activity Relationship)을 사용해 비슷한 물질인 2,4,6-Trichlorophenol과의 비교분석 연구를 사용해 RCRA 요구를 직접적으로 증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94년5월 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Great Lakes와 CMA는 EPA가 RCRA의 요구를 충족시킬만한 데이터를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SAR은 비교분석으로 직접적인 증빙자료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EPA는 2,4,6-TBP와 발암물질로 잘 알려진 2,4,6-TCP가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위험물질로 분류하는데 충분하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1998/10/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비전 2020> 적극화 | 2015-07-17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비전 2020> 추진 | 2015-02-27 | ||
| [인사/행사] LG그룹, <에너지 토탈 솔루션> 자랑 | 2013-10-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석유화학 독점횡포, 내수시장 독과점으로 <갑>의 횡포 여전하다! | 2015-04-24 | ||
| [백송칼럼] 석유화학, <갑질>이 문제이다! | 2015-02-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