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초에 최대 12.8GB 데이터 처리 … 풀 HD 영상도 실시간 구현 가능
화학뉴스 2012.09.18
삼성전자는 9월18일 타이완 타이베이에서 <삼성 모바일 솔루션 포럼 2012>를 개최하고 2GB(기가바이트) 초고속 LPDDR3 모바일 D램 등 차기 모바일 솔루션 전략을 공개했다.
2012년 9회째를 맞는 포럼에는 시장 관계자 및 에이서(Acer), HTC 등 주요 거래기업 관계자, 삼성전자 각 사업부 임원 등 250여명이 참석해 새로운 모바일 트렌드와 부품 솔루션 신기술을 공유했다. 삼성전자 DS(Device Solutions) 부문은 포럼에서 미래 라이프스타일의 중심이 되는 PC, 스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4대 기기에 탑재될 최고 성능의 반도체제품을 공급해 프리미엄 반도체 시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LPDDR3 모바일 D램 등 반도체제품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플래시 등 앞으로 모바일기기의 성능을 한 단계 진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특히, D램 생산기업 최초로 양산한 2GB 초고속 LPDDR3 모바일 D램과 128GB 대용량 내장메모리 솔루션이 공개돼 큰 관심을 끌었다.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간 30나노급 2GB LPDDR3 모바일 D램은 핀(Pin)당 동작속도가 기존의 LPDDR2보다 60% 가량 빠른 1600Mbps로, 1초에 최대 12.8GB까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에서는 데이터 처리속도 한계로 실시간 풀(Full) HD 영상을 완벽하게 구현하는 것이 어렵지만 해당제품이 탑재되면 대용량 풀 HD 영상도 실시간으로 구동할 수 있다. 역시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간 128GB 내장 메모리는 삼성전자가 5월 32GB, 7월 64GB 제품을 양산한데 이어 1개월 만에 양산되는 최대의 메모리 스토리지 제품이다. 약 8GB의 풀 HD 콘텐츠 15편을 보관할 수 있고 기존 내장메모리 규격에 비해 랜덤쓰기 속도가 4배 향상됐으며, 연속 읽기속도 140MB/s, 쓰기속도 50MB/s로 스마트폰에 장착하는 외장형 메모리카드 중 가장 빠른 수준인 Class 10 제품보다 5배 이상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이밖에 렌즈 일체형 LED 플래시, 차세대 암(ARM) A-15코어를 기반의 <엑시노스 5 Dual>도 공개해 개발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다. <화학저널 2012/09/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삼성SDI, 삼성전자 지원으로 생환 | 2025-05-02 | ||
[플래스틱] 롯데케미칼, 삼성전자와 손잡는다! | 2025-03-12 | ||
[반도체소재] 한솔케미칼, 삼성전자 HBM 수혜 | 2024-04-22 | ||
[화학경영] 한솔케미칼, 삼성전자 회복 “환호” | 2024-01-08 | ||
[올레핀] 무수프탈산, 초고속 낙하 비행… | 2023-06-23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