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760억달러로 16배 급증 … 한국도 2015년 거래제도 도입
화학뉴스 2012.10.24
세계 탄소 거래시장이 급팽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업계와 세계은행(WB) 등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권을 거래하는 세계 탄소 거래 시장규모는 2011년 1760억달러에 달했다. 교토의정서가 시행되며 본격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가 시작된 2005년 108억달러보다 16배 이상 증가했으며, 최근 유럽의 재정위기 영향으로 탄소시장 성장세는 둔화했지만 시장규모는 2008년과 비교해도 30.3% 늘었다. 2011년 탄소 거래량은 약 100억3000만톤으로, 우리나라의 2009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17배 수준에 달했다. 현재 세계 탄소 거래 시장은 유럽연합(EU)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EU는 2011년 1480억달러로 세계시장의 84.0%를 차지했으며, 거래량 기준으로도 세계시장의 76.4%에 달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이 갈수록 심해지고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세계 각국은 앞다투어 온실가스 감축에 나서고 있다. 세계 9위의 탄소 배출국인 우리나라도 탄소시장 개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0%를 줄이겠다고 선언했으며 2015년 탄소배출권거래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현재 정부와 산업계가 협의해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목표를 정하고, 목표량을 지키지 못한 기업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빠르면 2012년 안에 탄소시장을 주관할 거래소가 결정되며, 현재 한국거래소와 전력거래소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시장이 자리 잡으려면 기업의 반발 등 넘어야 할 산이 많고 불확실성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김태선 현대선물 금융공학팀 부장은 “지금은 목표관리제이기 때문에 배출 목표만 채우면 되지만 거래제가 되면 배출권을 시장에 팔아서 수익을 낼 수 있다”며 “시장 초반 유동성 공급이 관건이지만 국내 탄소시장은 거래량이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화학저널 2012/10/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P, 연휴 앞두고 거래 잠잠하다! | 2025-09-30 | ||
[석유화학] ABS, 현물 거래 실종에 시장‘정체’ | 2025-08-05 | ||
[석유화학] SM, 아시아 전역 거래 실종… | 2025-07-25 | ||
[석유화학] 톨루엔, 불확실성에 거래 줄어든다! | 2025-06-1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석유화학, 탄소 배출권 거래 본격화 | 2025-09-1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