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염료시장은 93년에도 성장이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국내 섬유산업 및 피혁산업의 경기부진 양상이 장기화되면서 염료 수요를 크게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92년 국내 염료 수요는 91년대비 0.2% 증가한 4만3865톤 정도 였으며, 올해의 국내수요는 92년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히 수입 감소율이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반면, 생산은 국내 염료제품의 수출호조에 따라 다소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92년 국내 총 염료생산실적은 91년 3만7481톤 대비 6.9% 증가한 4만72톤이었으며, 올해는 이보다 낮은 4.1% 정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염료 유형별 경기동향은 각각의 시장특성과 국제경쟁력 정도에 따라 상당한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아크릴섬유, 피혁 등의 염색에 주로 사용되는 염기성염료, 범용직접염료는 전방 수요산업의 쇠퇴로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지만, 폴리에스터, 나일론, 스판텍스, 울 등을 염색하는 분산염료, 산성염료, 고급 직접염료(Direct Fast) 등은 동남아, 인디아, 중국 제품에 대한 품질 우위와 수요시장의 꾸준한 성장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내수 구성비가 가장 높은 분산염료는 92년 7605톤을 생산, 91년 7354톤 대비, 3.4% 증가했다. 91년은 90년 6403톤 대비 14.8% 증가했다. 표, 그래프 : | 국내 염료 수급현황 | 국내염료기술개발 Time Schedule | <화학경제 1993/1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염·안료 중간체 수익성 악화 지속 | 2002-01-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염·안료, 원료가격 강세 “타격” | 2014-04-25 | ||
| [염료/안료] 중국, 염·안료 생산·수출 호조 | 2001-11-26 | ||
| [염료/안료] 염·안료중간체 | 2000-00-00 | ||
| [염료/안료] 염·안료 생산 소폭감소 | 1999-04-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