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8월 19일
천연고무 가격이 2013년 내내 하향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천연고무 생산량의 70%를 책임지고 있는 타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3국의 수매정책이 3월로 만료되면서 공급이 다시 정상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타이는 수출제한 정책을 이어갈 것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나머지 2국 역시 비슷한 수순을 이어가며 연장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매물량 재고가 20만톤에 달함으로써 재고가 시장에 풀릴 가능성이 높아 단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천연고무 재고는 최대 1년이 경과하면 상품가치가 하락해 가격이 10% 가량 떨어져 거래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2월 타이어 재고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1년 이상된 타이어를 10일안에 모두 처분하라는 조치를 취한 것도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 여기에 타이 북부지역의 고무 컴파운드 생산기업들이 증설을 단행해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부정적 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다만, 중국의 대규모 타이어 교체시기가 2013년으로 예상돼 수요 급증으로 이어짐으로써 큰 폭으로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그래프: <글로벌 타이어 수요 전망><천연고무 수급 전망><천연고무 수요 전망><국내 천연고무 수입동향><자동차 생산동향><천연고무 가격 전망>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효성첨단소재, 인디아 타이어코드 시장 진출 | 2025-11-13 | ||
| [자동차소재] HS효성, 친환경 타이어 소재 개발 | 2025-09-23 | ||
| [합성고무] 천연고무, 자동차 부진으로 타격 | 2025-09-19 | ||
| [자동차소재] 타이어, 전기자동차용 개발 주력 | 2025-09-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정밀화학] 합성 실리카, 타이어도 친환경이 대세 재생가능 소재 투입 확대…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