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7월 28일
특수고무는 자동차용 채용이 확대되면서 소폭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2014년에는 경기불황으로 성장률 둔화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원자력발전의 불량부품 대체로 원자력발전용 수요증가가 기대되고 있다. 원자력발전에 납품되는 케이블·전선에는 특수고무를 투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레이드가 낮은 중국산을 사용해 불량이 났기 때문으로, 특수고무의 활용도와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수고무는 100% 수입하고 있으며, 내유성과 내열성을 강점으로 70% 이상이 자동차용 엔진, 연료계통 주변에 채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특수고무로는 CR(Chloroprene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Elastomer), 불소고무(Fluorine Elastomer)가 있으며 내열성과 내유성이 강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표,그래프: <CR 시장점유율(2012)><CR 수요비중(2012)><불소고무 시장점유율(20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특수고무, 저온성 강화제품 확충 | 2014-08-20 | ||
| [합성고무] 호남석유화학, 특수고무 사업 진출 | 2012-10-11 | ||
| [합성고무] Zeon, 아시아 특수고무 사업 강화 | 2010-05-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특수고무 - ②일본, 고기능 글로벌화 전략 대폭 강화 | 2014-07-29 | ||
| [합성고무] 자동차용 특수고무, 자동차 타고 고기능ㆍ특수화… | 2012-03-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