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방전용량 3250mAh 음극재 개발 … 건식방식으로 효율 10배 향상
화학뉴스 2014.09.26
EG(대표 문경환)는 건식 분쇄방식으로 리튬이온 2차전지(LiB: Lithium-ion Battery)용 비탄소계 음극재인 실리콘(Silicon) 나노급 입도제어에 성공했다고 9월26일 발표했다.
나노 실리콘 음극재의 용량은 방전용량이 3250mAh, 초기효율은 89.5%로 현재 상용화된 음극재인 흑연의 이론용량 372mAh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G 관계자는 “기존의 실리콘 음극재료는 높은 충전용량을 보유한 반면 초기효율이 낮아 실제 방전용량이 낮은 수준”이라며 “나노크기의 값비싼 실리콘을 사용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EG는 실리콘 입도제어에 건식 분쇄방식을 사용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성공했다”며 “뿐만 아니라 EG의 공정은 염산 등을 사용하지 않아 폐수발생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장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EG는 방전용량이 뛰어난 나노 실리콘 음극재의 특허를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 출원해 2015년 취득하고 2017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 및 축전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에 사용되는 LiB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4년 23조1000억원에서 2017년 37조7000억원, 2020년 64조원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LiB의 핵심소재인 음극재의 국산화율은 1%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EG 관계자는 “앞으로 관련 산업의 성장성이 큰 만큼 연구개발(R&D)에 주력해 음극재의 국산화율을 10% 이상으로 확대해 시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화학저널 2014/09/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SK, 실리콘 음극재 사업화 “실패” | 2025-08-25 | ||
[신재생에너지] 폴리실리콘, 미국 수입제한 “우려” | 2025-08-11 | ||
[정밀화학] PVDF, LiB에서 LFP 바인더로… | 2025-08-05 | ||
[화학경영] KCC, 실리콘이 건자재 만회했다! | 2025-08-0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NiB, LiB 장벽 넘을 수 있을까? | 2025-08-0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