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1월 5일
의료·섬유, 고전도성 강점에 효율성 향상
섬유부문에서는 스마트 섬유 트렌드로 전도성 섬유 시장이 형성되면서 CNT(Carbon Nano Tube) 적용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전도성 섬유 충족 요건은 신체 적합성, 세탁 용이성, 기계적 특성이 핵심으로 웨어러블 장치가 보급되면서 필름은 50mm 반경에서 0.5mm로 좁혀지고, 양방향 스트렉처블이 가능한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도성 섬유는 SWCNT(Single Wall CNT) 기반으로는 가격 때문에 고전할 것으로 예상되나 MWCNT(Multi Wall CNT)는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도성 섬유 방사는 Dry Spinning 방식, Wet Spinngng 방식으로 구분되며, Dry Spinning 방식은 개발 초기단계부터 적용했으나 국내 방직기업들이 선호하지 않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Wet Spinning은 국내 방직기업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분산기술이 핵심으로 남아 있다. 표,그래프: <CNF TCF 어플리케이션 현황><UCC Foil의 성능>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②, 일본 AI 기판용 수요 급증 스페셜티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1-14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
| [나노소재] CNT, 고부가가치·첨단제품용 수요 기대 | 2025-10-24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