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M, 코오롱-KEP, 기술수준 더 높여야…
|
화학저널 2015.04.27
POM(Polyacetal)은 장기 정체기를 끝마치고 본격적으로 회복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글로벌 POM 생산기업들도 2010년부터 생산능력 확대에 주력했으나 2011-2012년 유럽의 재정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 타이 대홍수 등에 따른 수요 감소,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수익이 악화되고 있다. 세계 POM 수요는 100만톤 수준으로 중국 30만톤, 유럽·미국 30만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25만톤으로 추산되고 있다. POM은 5대 범용 EP(Engineering Plastic) 중 하나로 전기절연성,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우수해 기계부품, 화장품용기, 전기부품, 자동차부품 등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표, 그래프: <글로벌 POM 생산능력(20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코오롱ENP, 고부가 POM으로 수익 개선 | 2025-11-10 | ||
| [EP/컴파운딩] POM, 의료용 중심 고부가화한다! | 2025-10-01 | ||
| [EP/컴파운딩] 중국, POM 무역장벽 계속 높인다! | 2025-05-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OM, 중국 반덤핑 효과도 “별로” 코오롱ENP 기대 무너졌다! | 2025-11-07 | ||
| [EP/컴파운딩] 코오롱, POM 중국 수출 기대한다! | 2025-08-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