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소재는 정부와 연구자를 중심으로 R&D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있다.
국내 화학소재는 중국·인디아와 가격경쟁을 지속하고 미국·일본 등 기술 선진국에는 품질에 뒤지면서 가격과 품질 사이에서 모호한 위치였으나 중국이 R&D 투자를 확대하면서 기술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따라서 국내 R&D 투자와 더불어 R&D 성과를 상업화로 연결할 수 있는 확실한 해결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기술과 소재를 채용해야 하는 국내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기술과 국산 대체소재를 채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까지 4년 동안 9000억원을 투자해 R&D 성과비율을 2013년 1.7%에서 2017년 4.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 및 연구기업 사이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R&D 성과를 끌어올릴 방침이다. 선진국들은 IP(Intellectual Property)를 관리 및 활용하면서 지적재산권을 고부가 산업군으로 편입시키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IBM이나 애플은 경쟁기업들이 상용화에 실패한 IP를 구입해 자체 기술로 결점을 보완하고 다시 IP를 되파는 형식으로 이윤을 창출하기도 한다”며 “국내에서는 관리부터 활용까지 IP산업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제조업 평균 연구개발비용><성과확산 R&D투자에 따른 산업파급 효과><R&D성과 확산을 위한 4대 전략 및 10대 세부과제> <화학저널 2015년 5월 4일/11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화학소재, 중국도 반도체용 자급화 | 2025-09-04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화학소재 투자 확대 | 2025-08-28 | ||
[기술/특허] 화학기업, R&D 조직을 활성화하라! | 2025-08-14 | ||
[기술/특허] 화학기업, 첨단영역 R&D에 “사활” | 2025-08-0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황산, 전략적 화학소재로 변신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