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 표면 종단 처리로 결함 제거 … 에너지 변환효율 12.9%로 개선
화학뉴스 2015.08.20
일본의 물질‧소재 연구기구 International Center for Materials Nanoarchitectonics(MANA)의 연구그룹이 실리콘(Silicone) 나노입자를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하는 것을 확인했다.
에너지 변환효율 향상은 실리콘 나노입자가 우수한 광흡수 소재로써 작용하기 때문으로 실리콘 나노와이어형 태양전지에 적용한 결과 10% 정도의 변환효율이 12.9%로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기술은 실리콘 나노와이어형 이외의 실리콘계 태양전지(PV)에도 응용 가능하며 앞으로 실리콘 나노입자의 최적화를 연구함으로써 변환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계획이다. 입자 표면이 분자 종단된 입자크기 5나노미터 이하의 실리콘 나노입자를 알코올계 용매로 분산시켜 실리콘계 산화물인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를 산화 환원한 후 1-옥타데센(Octadecene)으로 분자 종단했다. 입자 표면은 분자를 결합시켜 완전하게 종단돼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표면과의 계면에 결함이 형성되지 않아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나노입자는 1-2나노미터의 산화막에 덮여 계면에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로 불리는 반응성 높은 결합이 생겨난다. 연구그룹은 결함이 있으면 태양광 흡수로 생성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어려운 실리콘 나노입자의 표면을 종단 처리함으로써 결함을 제거하고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화학저널 2015/08/2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SK, 실리콘 음극재 사업화 “실패” | 2025-08-25 | ||
[신재생에너지] 폴리실리콘, 미국 수입제한 “우려” | 2025-08-11 | ||
[화학경영] KCC, 실리콘이 건자재 만회했다! | 2025-08-05 | ||
[배터리] 음극재, 실리콘 시장 10배 급성장 | 2025-07-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