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허수영)은 일본 롯데홀딩스와의 위장거래를 통해 수백억원 가량의 해외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4부는 해외 비자금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롯데케미칼 등 10개 그룹 계열사와 롯데케미칼 협력기업 A사 등 15곳에 검사와 수사관 100여명을 보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롯데 계열사 10곳 가운데 롯데케미칼을 주요 해외 비자금 조성 통로로 주목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10년 무렵부터 협력기업 A사의 홍콩법인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부타디엔(Butadiene), 열분해가솔린(파이가스) 등을 수입하는 과정에서 일본 롯데홀딩스를 중간 거래기업으로 끼워넣어 수수료를 주는 방식으로 모두 200억원에 달하는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롯데그룹 수사와 별개로 A사 재무담당이사 정모 씨의 횡령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 롯데케미칼과 A사가 의문스러운 자금 흐름을 잡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허수영 롯데케미칼 대표 자택과 집무실을 압수수색했으며 협력기업 A사 대표 K씨 등과 함께 출국금지 명령을 내렸다.
검찰은 비리 의혹의 정점에 롯데그룹 정책본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비자금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최측근인 황각규 정책본부 운영실장, 신영자 롯데복지‧장학재단 이사장으로 흘러들어간 후 최종적으로 신동빈 회장에게 넘어갔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수사팀 관계자는 “모든 자산 거래의 컨트롤타워가 정책본부였던 것 같다”며 “최소한 보고는 다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원료 구입 과정에서 롯데그룹으로부터 별도로 자금 형성을 지시받은 적도 없다”며 “A사로부터 2012년 공급받은 물량은 6만8000톤으로 전체 원료의 0.9% 수준에 불과하며 구입액은 1060억원에 지나지 않아 구입 과정에서 200억-30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할 수 없는 구조”고 반박했다.
롯데케미칼의 최대주주는 롯데물산으로 31.3%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호텔롯데(12.7%), 일본 롯데홀딩스(9.3%) 등도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은 2013년부터 지분 0.3%를 보유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