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ESS(Energy Storage System) 관련 규제를 완화해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6년 8월 말 ESS 관련산업 도약을 위해 민·관·학계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ESS 융합 얼라이언스」를 발족시켰다.
ESS 융합 얼라이언스에는 LG화학, 삼성SDI를 비롯해 효성, 우진산전,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민간기업과 함께 한국전력, 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수출입은행, 서울대, 제주대 등 공기업과 연구소·대학에서 대거 참여했다.
산업부는 ESS 수출액을 2016년 4억3000만달러(추정치)에서 2020년 32억달러까지 늘릴 계획 아래 총 4조5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ESS 개발과 및 내수 활성화를 위해 각종 지원제도를 대폭 손질하고 있다.
2017-2020년까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1100여곳 건물에 ESS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으며 2016년 3월 도입한 ESS 할인요금제(활용촉진요금제)는 할인기간이 짧아 관심도가 낮다는 지적에 따라 적용기간을 1년에서 10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ESS 할인요금제는 ESS를 도입한 민간기업 및 기관에 대해 기본요금을 인하해주는 것으로 기간이 연장되면 관련 수요가 늘어나고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ESS로 저장한 전력은 전력거래소를 통해서만 판매할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일반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국내기업의 배터리 등 ESS 관련 기술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원이 뒷받침되면 2016년 국내 ESS 시장규모가 3000억원으로 2015년에 비해 50% 가량 확대되고 단시간에 글로벌 ESS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