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단지는 LPG(액체석유가스), 고압가스 저장탱크의 내진설계가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9월12일 경주지진이 발생한 이후 원자력발전소 안전 및 신규 건설 중단, 석유화학단지 및 고압가스시설의 안전성 검토와 보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울산은 인근에 다수의 원전이 밀집해 있을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단지에 고압가스, 화학물질을 다루는 사업장이 많아 대규모 인명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가스안전공사에 따르면, 2000년 1월1일부터 가스시설 내진적용기준을 통해 가스공사 시설 이외 시설은 내진 1-2등급인 진도 5.0-5.9의 내진설계를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지난 17년 동안 기준 미달인 가스시설에 대한 보강작업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법적 내진설계 대상인 5톤 이상의 고압가스 저장탱크와 3톤 이상의 LPG 저장탱크 5493개 가운데 내진설계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은 3708개로 전국 평균 67.5%에 불과하며 1783개는 법 시행 이전 시설이라는 이유로 내진 설계 없이 지진에 무방비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원자력발전소과 석유화학 위험시설이 많은 울산은 고압가스・LPG 저장탱크의 내진설계 적용비율이 57.3%로 전국 평균보다 10%포인트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외에도 고압가스・LPG 저장탱크가 500개 이상 있는 경기(71.3%), 경남(66.2%), 경북(67.5%), 전남(57.8%), 충남(78.3%) 지역 모두 내진기준 미달상태의 고압가스・LPG 저장시설이 있으며 제주도만 유일하게 100% 내진설계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