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국산 PE‧PVC 수입 “확대”
|
고부가제품 수요 증가에 G20 가동중단도 영향 … 중국산 PVC는 침체
정현섭
화학뉴스 2016.11.04 중국은 한국산 PE(Polyethylene) 및 PVC(Polyvinyl Chloride)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LDPE(Low-Density PE) 수입은 8월 14만4964톤, 9월 14만8178톤으로 증가했고 한국산 수입도 8월 1만3965톤에서 9월 2만24톤으로 크게 늘었다. LLDPE(Linear Low-Density PE) 수입은 8월 23만6374톤, 9월 22만2018톤으로 감소한 반면 한국산 수입은 메탈로센(Metallocene)제품을 중심으로 8월 1만2640톤에서 9월 1만5377톤으로 증가했다.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수입은 8월 47만6845톤에서 9월 47만8692톤으로 7월부터 증가세를 지속했고 한국산 수입은 5월부터 4개월 연속 증가해 8월 4만6295톤, 9월 4만8978톤을 기록했다. ![]() 중국은 PVC 수입이 8월 4만7593톤, 9월 4만4795톤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한국산 수입은 8월 2199톤에서 9월 2943톤으로 회복했다. 중국산 PVC는 G20 정상회의에 따른 가동중단의 영향으로 수출량이 2016년 8월 14만2439톤에서 9월 8만1997으로 42.4%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PP(Polypropylene) 수입은 Homo가 8월 24만7822톤에서 9월 25만6666톤으로 소폭 줄었고 한국산 수입은 8월 5만988톤에서 9월 5만611톤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반면, Copolymer 수입은 8월 10만8774톤, 9월 12만7775톤으로 늘었고 한국산 수입도 8월 2만7678톤, 9월 3만756톤으로 증가했다. <정현섭 기자> 표, 그래프 : < 중국의 폴리머 수출입동향(2016년)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첨가제] 이수스페셜티, 중국에 TDM·NDM 공급 | 2025-11-11 | ||
| [배터리] 양극재, 글로벌 공급망 중국기업 의존도 심화 | 2025-11-11 | ||
| [에너지정책] 바스프, 한국산 화장품 원료 사업 확대 | 2025-11-11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중국 원유 수입량 증가 “상승” | 2025-11-1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질, 탈중국 움직임 본격화… 일본, 중국 공백을 노린다!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