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 위험 우려가 높은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 대한 현장점검이 실시된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수도권 소재 사업장 가운데 화학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안전관리를 위해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을 병행 실시한다고 11월9일 밝혔다.
또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기술지원과 4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화학사고 안심컨설팅을 지속 추진하는 투트랙 방식으로 화학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기술지원 대상 고위험 사업장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에 따라 제출받은 장외영향평가서와 위해관리계획서를 분석하고 화학사고 발생 위험도가 높은 18곳을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장외영향평가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장이 의무적으로 작성하는 것으로 한강유역환경청은 평가서를 바탕으로 주변 지역에 대한 안전 확보방안 등을 점검하고 화학사고 신속 대응을 위한 시나리오를 검토해 부족한 부분에 대해 기술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위해관리계획서는 폭발성 등이 강한 사고대비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작성하며 한강유역환경청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지역 주민에게 어떻게 고지할 것인지 혹은 자체 방제 계획을 실제로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관련 기술을 지원할 방침이다.
화학사고 안심컨설팅은 시화·안산단지에서 화학사고 이력이 있는 곳과 화학물질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곳, 직원 10인 이하 중소 영세사업장 가운데 매월 1곳을 선정해 안전관리를 지원하고 있다.
한강유역환경청은 화학사고 안심컨설팅 지속을 위해 산업계·학계 등 관련 전문가 20여명으로 구성된 컨설턴트 그룹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 여건에 적절한 맞춤형 기술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10월에는 연초 화재로 전소된 인천 소재 화학공장에 대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재설치에 필요한 화관법상 관련 규정을 안내했으며 누출감지기 등 안전설비를 보강하도록 설비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한강유역환경청 이석록 화학안전관리단장은 “11월부터 실시하는 현장점검에서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면 적극적인 기술지원을 통해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며 “각 사업장도 안전교육을 지속 실시하고 시설 개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