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온실가스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탄소 자원화 실증 로드맵을 제시해 주목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탄소 자원화 국가전략프로젝트 조기 실증 로드맵」을 12월12일 발표했다.
산업단지나 발전소 등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분리·정제해 메탄올(Metahnol), 경유, 플래스틱 등 고부가가치 원료 및 화학제품으로 재활용함으로써 2030년까지 연간 250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16조3000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래부는 “11월 파리기후변화협정이 공식 발효되면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현실화됐다”면서 “혁신적 온실가스 감축 수단인 탄소 자원화 기술 실증에 민간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로드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탄소 자원화 기술은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 메탄가스(CH4) 등 탄소 화합물을 적극 활용해 유용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탄소 전환과 탄소 광물화 기술로 구분된다.
탄소 전환 기술은 산업 부생가스에서 CO만을 95% 순도로 분리·정제해 화학물질을 만드는 기술이다.
2018-2019년 동안 9톤 가량의 CO를 정제해 3톤의 화학물질을 생산하고 2022년까지 CO와 화학물질 생산량을 각각 1000배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부생가스 활용이 용이한 전남 광양·여수 산업단지에서 실증 플랜트를 구축하고 있다.
탄소 광물화 기술은 저농도 CO2를 광물로 만들어 폐광산 채움재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 폐광산은 2588개에 달하지만 복구가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0년까지 6000톤의 CO2를 모아 폐광산 채움재 3만톤을 생산한다는 방침을 내세우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2017년 초 범부처 단일 사업단을 발족해 2022년까지 6년간 475억원(국비 340억원)을 투입해 실증한 뒤 본격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