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기업은 3년 동안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7.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이 1월9일 발표한 「한계기업 비중 확대와 생산성 둔화」 보고서에 따르면, 의약품을 제외한 화학제품 생산기업 가운데 성장이 어렵다고 평가된 곳은 2011년 4.8%에서 2015년 7.2%로 늘었다.
한계기업 비중은 서비스업이 14.1%에서 17.1%, 전산업이 9.4%에서 12.7%, 건설업이 8.7%에서 11.3%, 제조업이 5.4%에서 8.9% 순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9.4%에서 12.7%로 확대됐다.
한계기업의 증가와 함께 복합적인 생산효율성을 가리키는 총요소생산성 수치 또한 나빠졌다.
통계청이 2011-2014년 실시한 기업활동조사에 따르면 산업별 총요소생산성은 41개 산업 가운데 21개가 감소세를 나타냈다.
총요소생산성이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기타운송장비로 2011년 1.3에서 2014년 0.6으로 15.3% 가량 줄었고, 석유화학은 1.4에서 1.0으로 약 8.8% 감소했다.
산업연구원 최현경 연구위원은 “한계기업 비중이 증가했다는 것은 대내외 경제여건의 변화에 상응하는 구조조정이 부진함을 의미한다”면서 “일시적인 경제 충격을 우려해 구조조정을 더 이상 늦추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LG화학이 PS(Polystryene) 5만톤 플랜트를 ABS(Acrylontrile Butadiene Styrene) 3만톤으로 전환하는 사업재편계획에 대해서는 “당장 가치판단을 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심의위원회에서 법 취지에 맞추어 결정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회복가능성이 없는 한계기업은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시장원리에 따라 과감히 퇴출될 필요가 있다”며 “사전적 구조조정 수단인 기활법(기업활성화특별법)에 기초한 사업재편 등 민관의 긴밀한 협력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준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