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본격화와 함께 주목받고 있다.
제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소비자 맞춤형, 다품종 소량생산 등 새로운 형태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3D프린팅 산업은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할 핵심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3D프린팅의 필수소재인 금속분말의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3D프린터 장비, 소프트웨어, 금속‧세라믹 소재 등 관련 분야를 총 집결해 조만간 「3D프린팅 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2월17일 철강 전문가, 금속 소재 및 장비 생산기업, 자동차‧항공‧발전기 등 수요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금속분말 소재 육성전략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완제품을 생산하는 금속 3D프린팅 분야는 대량생산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글로벌 시장규모가 8000만달러에 불과했지만 앞으로 금속분말 소재 성장과 함께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산업부는 금속소재 분야의 우수한 연구개발(R&D) 역량과 제조기술‧설비운영 경험을 활용해 선제적으로 투자하면 3D프린팅이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과 같은 수출 주력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현재 국내 기술수준과 시장경쟁력 모두 선도국에 비해 뒤처져 있지만 점차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며 “특히, 정밀금형용 철(Fe) 계열과 의료용 타이타늄(Ti) 분말은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금속분말 3D프린팅 시장은 수요가 아직 작고 투자에 따른 리스크가 높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R&D와 수요 창출을 위해 정부가 나서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만기 차관은 “시장‧민간 주도의 금속분말 3D프린팅 산업 생태계의 조기 구축이 중요하다”며 “정부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