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화학물질 교육 국가 표준화를 통해 사고‧테러 대응능력 향상에 나선다.
화학물질안전원은 4월25일 화학사고·테러 대응 능력과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표준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화공·소방·테러 분야 전문가들이 4월26일부터 교육 훈련모델 개발과 교육과정 국가 표준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 2017년 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국가표준은 2019년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에 조성하는 전문교육 훈련장과 연계해 화학물질 운송차량 전복과 저장탱크·제조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화학물질 누출사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습 중심과목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특히,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 위험성이 큰 상황에서는 실제 훈련과정의 안전을 위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한 교육과정도 개발‧반영할 예정이다.
전문교육 국가표준은 소방·경찰·환경 등 참여기관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모든 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훈련지침을 마련하고 지침을 통해 이론과 실전 교육 형태를 다양화해 교육 대상자의 만족도와 품질을 높일 방침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미국·캐나다 등 해외 프로그램과 기준을 참조해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해외에서도 자격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국제적인 표준화 기반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