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소다(Caustic Soda)는 수요기업들의 반발로 인상안이 철회됐다.
가성소다는 한화케미칼, LG화학, 롯데정밀화학, OCI, 백광산업 등 공급기업들이 국제가격 인상의 영향으로 내수가격을 2016년 11월 액체 가성소다 기준 kg당 240-250원에서 290-300원으로 약 20% 인상한 바 있다.
공급기업들은 2017년 2-3월에도 내수가격을 추가 인상할 계획이었으나 수요기업의 반발에 부딪쳐 보류했고 4월 40원 가량 인상안을 추진했으나 또다시 수요기업들의 반발로 단념했다.
가성소다는 최근 공급과잉 우려가 해소되면서 상승하기 시작해 2017년 1/4분기 국제가격이 톤당 420-430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0달러 정도 폭등했다.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석탄 감산조치로 석탄 가격이 상승하자 석탄을 원료로 사용하는 카바이드(Carbide) 베이스 PVC(Polyvinyl Chloride) 가동률이 하락하며 가성소다 생산이 줄어들어 수급이 타이트해졌기 때문으로 당분간 대규모 신증설도 없어 타이트 상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급기업들이 내수가격도 국제가격 상승세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4개월 연속 이어진 인상 추진에 반발이 거세 철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염색업의 반발이 극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패션칼라조합이 한국섬유산업연합회를 통해 공급기업 5사에게 가격인상 자제 요청을 서면 건의하고 최종적으로 산업부에 애로사항을 건의함으로써 산업부가 한국클로르알칼리공업협회를 대상으로 가성소다 가격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자 롯데정밀화학이 대구 대리점을 통해 인상안을 철회하며 5사 모두 인상안을 철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염색 관계자는 “가성소다 인상안 철회로 다수의 염색기업들이 월평균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 상당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며 “가성소다 시장은 한화케미칼을 중심으로 주요 대기업 5곳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부르는 것이 값”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