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기업들은 매출액 대비 R&D(연구개발) 비중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메이저 4곳의 매출액 대비 R&D비용은 평균 0.17%로 국내 대기업 평균인 1.4%보다 낮았으며 중소기업의 0.8%와 비교해도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17년 상반기 0.4%, 881억원으로 정유기업 가운데 R&D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2015년 0.34%, 2016년 0.37%에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화학, 배터리 부문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지며 R&D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GS칼텍스는 0.19%, 256억원으로 2016년 0.21%에 비해 소폭 감소했으며, S-Oil은 0.07%, 68억원, 현대오일뱅크는 0.03%, 21억원을 기록해 0.1% 미만으로 매우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유기업 관계자는 “장치산업의 특성상 신제품이나 신기술 개발보다는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통한 최적화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시설 투자에 주력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며 “정유기업들은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R&D투자 비중이 더욱 낮아보이는 경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글로벌 정유기업은 R&D 비중이 2015년 기준 미국 Dow Chemical 3.3%, 독일 BASF 3.8%, 일본 Mitsui Chemicals 2.3%인 것으로 알려져 국내기업의 R&D 비중 확대가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장 관계자는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선제적이고 중장기적인 R&D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GS칼텍스의 포스트 오일시대 대비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GS칼텍스는 2017년 상반기 매출 가운데 정유부문이 77%, 석유화학부문이 19%를 차지했으나 윤활유부문은 4%에 불과해 비석유사업 매출 비중이 적기 때문에 앞으로 석유제품 마진이 축소되면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슬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