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병
개 황 PET병은 1975년 DuPont이 개발한 이후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간편하며 경제적인 소재라는 이유로 유리, 캔 등의 소재를 대체해왔다. 신소재 PEN은 가스차단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나 원료인 NDC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 NDC가 10% 함량되었을 경우 PET에 비해 가격이 3배에 이르고 있다. PET병은 재활용 문제로 법적장치를 통해 규제해 왔으나 수요는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 1996년4월 일본이 1리터이하 PET병 사용규제를 폐지함으로써 쥬스, 이온음료 등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일본의 PET병 설비는 급격한 용도변경이 어려워 한국, 대만 등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유럽에서는 이미 PET병이 PVC병과 메탈계 캔을 상당부분 대체하면서 1997년 수요가 20%이상 신장했다. 생 산 국내 PET병 시장은 효성, 삼양사 등 선발 2개사가 국내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고 두산유리, 롯데알미늄, 두레산업 후발 3사가 각각 두산음료, 롯데칠성, 코카콜라라는 자가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나머지 30여개 중소기업이 생수용기 등 NR을 생산하고 있다. 표, 그래프 : | PET병 시장점유율 | PET병 생산능력 | HR 시장점유율 | PR 시장점유율 | HPR 시장점유율 | NR 시장점유율 | PET병 가격비교 | PET병용 칩 생산능력(1997) | <화학연감 200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PET병, 2026년 재생 의무화한다! | 2025-09-16 | ||
[플래스틱] PET병, 리사이클 원료 의무화 강화 | 2025-02-20 | ||
[기술/특허] 플래스틱, 미생물로 PET병 대체 | 2024-11-07 | ||
[합성섬유] 효성티앤씨, PET병을 방진복으로… | 2023-08-22 | ||
[리사이클] SK에코플랜트, PET병 재활용 확대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