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대표 전영현)가 현대‧기아자동차와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사업에서 손을 잡았다.
현대‧기아자동차는 그동안 SK이노베이션, LG화학으로부터만 EV 배터리를 공급받아왔으며 삼성그룹과의 협업은 처음으로 파악된다.
앞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EV를 비롯한 친환경 자동차 중심의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기술력 중심의 파트너십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주력 EV 모델인인 아이오닉EV에 LG화학의 배터리를 채용했으며 쏘울EV, 니로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2018년 출시할 1회 충전당 주행거리가 390km에 달하는 코나EV와 니로EV에도 각각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으로 파악되고 있다.
삼성SDI는 BMW, 아우디(Audi), 크라이슬러(Chrysler) 등 세계 유수의 완성차 생산기업으로부터 수주를 따내며 기술력이 LG화학에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울산과 중국 Xian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헝가리 공장에서도 양산을 시작함에 따라 현재 5GWh인 배터리 생산능력이 2020년에는 약 20GWh까지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1회 충전당 3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2세대 배터리 60KWh를 33만대 가량에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추산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현대·기아자동차가 그동안 LG그룹과 많은 부분에서 협력을 했지만 최근 Cisco, Michelin과 협업하는 등 미래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파트너를 넓히고 있다”며 “삼성과의 협업도 파트너 확장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현대·기아자동차는 2020년까지 중형급 이하 전차종의 EV화를 계획하고 있어 기존 공급기업 외에 삼성SDI의 배터리를 사용할 여지가 커진 상황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현재 현대·기아자동차의 양산형 자동차에 공급하는 배터리는 없다”면서도 “향후 양산될 모델에 탑재될지 여부는 밝힐 수 없다”고 밝혔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