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아 정부가 한국산 TDI(Toluene Diisocyanate)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
미국과 중국을 잇는 거대 시장인 인디아가 한국산 화학제품에 대한 견제를 본격화하면서 국내 화학산업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인디아 정부는 2017년 12월 국내기업들이 인디아에 수출한 TDI에 대해 톤당 220-440달러에 달하는 반덤핑관세를 부과했다.
한화케미칼 220달러, 한국BASF와 OCI가 각각 310달러와 440달러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중국, 일본기업들도 함께 반덤핑관세를 부과받았으나 중국은 260달러, 일본은 150달러로 국내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는 인디아 TDI 시장의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고 있어 영향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인디아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계속 강화된다면 TDI 뿐만 아니라 석유화학제품 전반으로 수입규제 조치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일부에서는 가소제로 사용하는 DOP(Dioctyl Phthalate)가 다음 타깃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디아 정부가 12월 DOP에 대한 반덤핑관세 부과 관련 공청회를 개최한데 이어 2018년 3월경 관세 부과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국내기업들은 한국산 화학제품이 철강제품과 같이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표적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미국은 2017년 ESBR(Emulsion Styrene Butadiene Rubber), DOTP(Dioctyl terephthalate)에 대한 반덤핑관세가 부과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Silicone) 태양전지, 폴리에스터(Polyester) 합성 단섬유, 저융점 폴리에스터 단섬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레진 등에 대한 조사 역시 진행하고 있다.
중국도 MIBK(Methyl Isobutyl Ketone), SM(Styrene Monom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등에 대한 조사와 함께 이미 반덤핑관세 부과가 결정된 아크릴 섬유에 대한 재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