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LPG(액화석유가스) 공급기업으로 나설지 주목된다.
포스코는 금융감독원 공시를 통해 3월9일 개최되는 주주총회에서 「도시가스 사업, 발전 사업 및 자원개발 사업」으로 규정된 정관 사업목적을 「가스 사업, 발전 사업 및 자원개발 사업」으로 변경하겠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포스코가 LPG 판매를 위해 기존 목적 사업인 도시가스 사업을 가스 사업으로 변경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포스코는 SNG(대체천연가스) 사업을 위해 2014년부터 LPG 5만톤 저장설비를 구축하고 SK이노베이션과 석탄가스화 특허 관련 협약 등을 체결했으나 내부 검토 결과 사업성이 떨어져 포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SNG는 석유, 석탄 등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합성천연가스로 메탄(Methane)이 주성분인 천연가스와 성분이 비슷하지만 열량이 낮아 LPG 중에서도 열량이 높은 프로판(Propane)을 추가 혼합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포스코가 이미 구축한 저장설비를 활용하기 위해 일본, 동남아를 대상으로 트레이딩 사업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LPG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됐고 S-Oil이 잔사유 처리시설,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 등이 NCC(Naphtha Cracking Center) 신증설에 나서게 되면 국내 공급량이 늘어나 경제력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또 포스코가 정관 변경을 통해 국내 LPG 공급기업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LPG 출하설비를 갖추어야 하며 선박 접안이 가능한 부두 인근에 설비를 구축했기 때문에 탱크로리 또는 LPG 벌크로리가 부지 내로 진출입하면 보안시설을 관리해야 해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