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데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조용훈 강원대 교수, 서울대 성영은·최문수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직접 메탄올(Methanol)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를 개발했다고 2월1일 밝혔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액체 메탄올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며 기존 수소 연료전지에 비해 연료의 저장‧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어 휴대·이동형 동력원으로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메탄올의 산화반응이 매우 느리게 발생하고 산화전극으로 공급된 메탄올이 환원전극으로 투과되면서 전기에너지 생산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메탄올 산화반응이 발생하는 막-전극 접합체에 간단한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나노규모의 구조를 도입해 느린 반응속도와 메탄올 투과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다.
먼저 전해질 막 표면을 나노구조 계층으로 패턴화해 산화전극 특성을 향상하고 반응속도를 증가시켰으며 패턴의 골짜기를 따라 균일한 나노 균열을 갖는 금층을 표면에 도입해 메탄올이 투과되지 않도록 제한했다.
연구팀이 제작된 막-전극 접합체를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적용한 결과 전력 밀도가 최대 42.3% 향상됐으며 제작된 막-전극접합체의 백금 촉매 사용량 대비 전력 밀도가 상용 막-전극 접합체와 비교해 2배 이상 높아졌다는 것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조용훈 교수는 “촉매와 전해질 등 물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서 메탄올 연료전지의 낮은 성능 한계를 극복해낸 것”이라며 “고에너지밀도의 연료전지를 드론의 전력원으로 사용하면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활용범위가 비약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결과는 나노기술분야 국제학술지 Nano Energy 1월호에 게재됐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