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 속에서도 폭발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배터리가 개발됐다.
반복적으로 구부리거나 잘라도 성능을 유지하고 프린팅 공정으로 쉽고 빠르게 만들 수도 있다.
UNIST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상영 교수팀이 불 속에서도 터지지 않는 안전성과 마음대로 휘어지는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한 신개념 플렉시블(Flexible) 전고체 리튬이온전지(LiB: Lithium-Ion Battery)를 개발했다고 2월20일 발표했다.
전지 재료를 잉크 형태로 만들어 프린팅하는 기술을 도입해 원하는 사물 디자인에 맞춘 배터리를 쉽게 제작할 수도 있다.
LiB는 음극, 전해질, 양극으로 구성되며 현재는 액체 전해질을 이용하는 LiB가 널리 쓰이며 폭발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전해질까지 모두 고체를 사용하는 전고체전지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무기전해질(고체)을 이용했으나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 한계가 있어 전고체전지의 전해질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 불이 잘 붙지 않는 고체 상태의 유기전해질을 도입했다.
전해질 상태를 액체에서 고체로 바꾸면서 안전성을 확보하고 무기전해질 대신 유기전해질을 사용하면서 유연성까지 얻었다.
연구진은 전지의 음극, 전해질, 양극 재료의 유변학(Rheology) 성질을 조절해 잉크 형태로 만들었고 재료들을 단계적으로 프린팅하는 공정을 수행해 고온·고압 공정을 거치치 않고도 단위 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바이폴라(Bipolar) 구조의 리튬이온전지를 구현했다.
충전전압은 7.2V로 고전압을 나타냈다.
프린팅 공정 덕분에 장난감 자동차의 지붕 같은 곡면에도 전고체전지를 쉽게 제조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장난감 자동차 위에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를 켜고 전지에 불을 붙이는 화재 모사실험도 진행한 결과 개발한 전고체전지는 불이 붙지 않았고 LED램프가 계속 켜져 전지가 정상 작동했다.
전지 일부를 가위로 잘라낸 뒤에도 LED램프가 켜진 상태를 유지해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했다.
안전성과 함께 100차례 이상 반복적으로 굽힌 뒤에도 정상 작동해 유연성 측면에서도 우수했다.
이상영 교수는 “현재 2차전지 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가 폭발에서 안전한 전고체전지 개발이며 연구를 통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며 “가위로 자르는 것은 물론 불 속에서도 정상 작동하는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유연성을 확보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