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계속하고 있다.
중국이 미국의 고율관세 조치에 맞서 500억달러(약 54조95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수입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키로 결정했다.
아울러 화학제품은 반덤핑 조치까지 추가하며 전면적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까지 고강도 보복에 나섬에 따라 세계경제 양대축인 G2 사이의 무역전쟁이 본격화되면 세계 각국이 후폭풍을 맞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6월16일 “미국이 중국산에 부과한 것과 같은 수준으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산 수입제품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제품 1102개 품목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지 불과 몇시간만에 대응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중국이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미국산 품목은 659개로 미국보다 적지만 금액으로는 동일하다.
관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기반 지역에서 주로 생산하는 농산품과 자동차 등에 집중돼 경제적으로는 물론 정치적으로 압박하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항공우주, 로봇, 제조업, 자동차산업 등 중국이 집중 육성하는 분야를 겨냥했다.
중국은 7월6일 콩(대두)을 비롯한 농산품과 수산물, 자동차를 포함한 340억달러 545개 품목에 우선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관세 대상인 수산물에는 최근 중국에서 수입이 늘고 있는 랍스터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화학, 의료설비, 에너지 등 114개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일은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은 아울러 미국산 요오드화수소산과 에탄올아민(Ethanolamine) 등에 대해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리고 높은 보증금을 납부토록 하는 임시 조치를 6월23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수입업자에게 매겨지는 보증금은 덤핑 마진에 따라 요오드화수소산이 41.1-118.8%, 에탄올아민 11.7-97.3%로 알려졌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고율관세 시행일까지 아직 3주 정도 남았을 뿐만 아니라 양국 모두 무역전쟁의 손실이 커 정면충돌을 피할 여지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