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2개월만에 에틸렌(Ethylene) 풀가동 체제를 되찾았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8월 에틸렌 생산량은 51만7200톤으로 전년동월대비 7.7% 감소했다.
정기보수는 JXTG에너지의 가와사키(Kawasaki) 크래커 1곳뿐이었다.
에틸렌 가동률은 95.2%로 2개월만에 실질 풀가동 기준인 95% 이상 수준을 회복했다.
7월에는 정기보수 직후 가동 정상화까지 시간이 필요한 크래커들이 있어 가동률이 92.9%를 기록하는 등 33개월만에 95%를 하회한 바 있다.
다만, 풀가동 기조는 변하지 않았으며 손익분기점으로 간주하는 가동률 90% 이상은 57개월 연속 기록하고 있다.
2018년에는 일본 에틸렌 크래커 12기 가운데 7기가 3-10월 정기보수를 실시하며 한국, 타이완, 싱가폴도 정기보수를 계획하고 있어 아시아 에틸렌 공급량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특히, 일본은 2018년 연간 에틸렌 생산량이 2017년 기록한 653만톤을 하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반면, 아시아 석유화학 수요는 계속 신장하고 있어 고가동 체제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석유화학제품 수출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7월 에틸렌 환산 수출입실적에 따르면, 에틸렌계 석유화학제품 수출량은 15만1046톤으로 12.8% 줄어들었다.
2018년에는 석유화학 플랜트 정기보수가 잇따라 예정돼 있어 수출을 줄이고 내수에 대응하거나 재고를 축적해두려는 움직임이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에틸렌 수출은 3만3951톤으로 38.2% 격감했고 PVC(Polyvinyl Chloride)는 2만5367톤으로 6.7% 감소했다.
SM(Styrene Monomer)은 1만766톤으로 21.5%, EG(Ethylene Glycol)는 6061톤으로 39.0%나 줄어들었다.
반대로 수입은 8만4202톤으로 10.1% 증가했다.
에틸렌이 1만3955톤으로 2.2% 줄어들었으나 LDPE(Low-Density Polyethylene)는 3만7235톤으로 31.3% 증가했고 EDC(Ethylene Dichloride)는 5956톤으로 103.2% 급증하며 전체 수입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에틸렌 생산량과 에틸렌 환산 수입량에서 수출을 제외한 내수는 42만9200톤으로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