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대표 박찬구‧김성채)은 4/4분기부터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호석유화학은 3/4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450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0.4%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509억원으로 161.4%, 당기순이익도 1225억원으로 116.2% 급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전분기대비로는 1.7% 감소했으며 4/4분기에는 감소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합성고무 사업은 매출이 5395억원으로 16.4% 증가했으나 주요 원료인 부타디엔(Butadiene) 가격이 상승하며 코스트가 확대된 반면 스프레드 개선은 미흡해 수익성이 감소했다.
부타디엔 가격은 NCC(Naphtha Cracking Center) 정기보수 등의 영향으로 8월까지 강세를 나타냈으며 9월 이후부터 유도제품 시황 회복이 지연되며 장기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합성수지 사업은 매출이 3207억원으로 3.8% 증가했다.
국내경기 침체 및 미국-중국 무역분쟁 격화에 따른 수요 감소 및 판매가격 약세로 수익성이 다소 줄었다.
기타부문 매출은 5904억원으로 36.4% 증가했다.
페놀(Phenol) 유도제품 사업은 경쟁기업의 트러블로 판매가격이 상승하며 수익성이 향상됐고, 에너지부문은 전기판매단가(SMP) 상승으로 매출 증가, 수익성 개선 효과를 누렸다.
금호석유화학은 3/4분기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어닝서프라이즈를 실현했으나 4/4분기에는 수익성 개선 속도가 둔화되거나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합성고무는 부타디엔 가격 약세로 타이어 생산기업의 재고 최소화 및 구매 관망세가 예상되고 있으며 타이어 비수기로 수요까지 감소하며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합성수지 역시 미국-중국 무역분쟁 심화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SM(Styrene Monomer)과 부타디엔 등 원료가격 약세가 중국발 수요 부진과 맞물리며 판매가격이 떨어져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