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태양전지 메이저 2사가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Jinko Solar는 2017년 태양전지 모듈 출하량이 처음으로 10기가와트에 달한데 이어 2018년에도 20%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Jinko Solar를 추격하고 있는 Trina Solar는 기존 판매지역에서 모두 출하량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태양전지는 중국 내수가 불투명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으나 세계 수요는 2018년 100기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사는 세계 전체 출하량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중국 태양전지 생산기업들은 압도적인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모듈을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기술력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고성능 모델을 꾸준히 확충하고 있다.
특히, Jinko Solar와 Trina Solar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2016-2017년 2년 연속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Jinko Solar는 2018년 하반기 출하량만 6.7-7.2기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8년 총 출하량으로는 12기가와트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3년 연속 1위 고수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Trina Solar는 2014-2015년 1위를 유지한 이후 2위로 떨어졌으나 2017년에는 출하량이 9기가와트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달성했으며 2018년에도 기존 판매지역에서 모두 출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아울러 2018년 들어서는 중동, 중남미 등에 본격적으로 출하하기 시작해 예상을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태양전지 시장에서는 중국의 태양광발전 정책 변경이 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5월 말 태양광발전 설비 도입에 대한 규제를 갑작스럽게 통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Jinko Solar와 Trina Solar는 신흥국 출하를 통해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Jinko Solar는 단일시장에 의존하지 않는 글로벌화 전략에 힘을 기울이고 있어 중동, 아프리카 등 10개국 이상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북미, 유럽, 일본과 함께 신흥국 시장 개척에 주력할 방침이다.
Trina Solar 역시 Jinko Solar와 마찬가지로 기존시장과 신흥시장 양측에 모두 초점을 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수요 신장에 대응해 모듈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