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 1999년 한국의 AN(Acrylonitrile) 국내수요는 아크릴섬유 시장이 오랫동안 부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17.5% 증가해 37만2242톤에 달했다. 3-4월 가동률 하락으로 아크릴섬유용 수요량은 소폭 감소했으나 ABS 시장이 회복돼 가동률이 정상수준으로 늘었다. AN 국내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은 32.8% 감소해 8만7529톤에 그쳤고, 수입은 ABS용 수요가 늘어 2.6% 증가한 11만3473톤에 달했다. 2000년 국내수요는 아크릴섬유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ABS용 및 기타용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8.5% 신장이 기대된다. 생산은 몇몇 AN 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생산차질분을 메우기 위해 전년대비 6.8% 증가하며 풀가동될 것으로 예상된다. 1999년 일본의 AN 생산은 전년대비 10.6% 증가해 73만8000톤에 달했다. 몇몇 대규모 플랜트의 정기보수가 없었으며 Asahi Chemical의 5만톤 공장이 1998년말 완공돼 1999년에 가동됐다. 1999년 상반기에는 제조기업들이 수급조절을 위해 자체적으로 감산했으나 하반기에는 Asahi의 20만톤 플랜트에서 화재가 발생해 풀가동했다. AN 수요는 내수시장이 부진했으나 수출이 늘어 6.2% 증가한 86만톤에 달했다. 표, 그래프 : | AN 아시아 수급동향 | EG 아시아 수급동향 | TPA 아시아 수급동향 | DMT 아시아 수급동향 | SBR 아시아 수급동향 | Caprolactam 아시아 수급동향 | BR 아시아 수급동향 | <화학저널 2000/6/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벤젠, 아시아 부진에도 서구권은 강세 지속! | 2025-11-26 | ||
| [석유화학] 나프타, 아시아 하락세 장기화한다! | 2025-11-24 | ||
| [석유화학] SM, 아시아 강세에 글로벌 시장도 ‘들썩’ | 2025-11-21 | ||
| [계면활성제] 바스프, 타이 APG 증설로 아시아 공급 확충 | 2025-11-2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염료/안료] TiO2, 아시아 공급과잉 장기화 특수화·초미세화로 대응 | 2025-11-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