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플라스틱스(Polyplastics)가 LCP(Liquid Crystal Polymer) 사업에서 차별제품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신규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그레이드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5G 통신과 차세대 자동차 등 신규시장 개척도 진행하고 있다.
전기전자 분야를 주력 영역으로 추가하고 기존 자동차 용도에서도 안정적인 공급체제를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No.1 시장점유율 유지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폴리플라스틱스가 생산하는 LCP는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박막화하면 강도가 더 강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2018년에는 전기전자 분야에서 커넥터용을 중심으로 채용이 확대돼 출하량이 전년대비 4-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2019년에도 2018년과 동일한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으며 용도별 맞춤형 그레이드를 공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용도에서는 컴파운드 소재를 개선시켜 모듈 내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카메라 모듈용 LCP는 일반적으로 내충격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해당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유리 섬유 등을 충진시킬 필요가 있ㄷ.
그러나 충진재가 먼지 발생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사례도 있어 독자기술을 활용해 신규 그레이드를 개발함으로써 수요처의 니즈를 반영하는데 성공했다.
또 앞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5G용 분야에서는 새로운 저유전 타입을 제안하고 있다.
5G통신 시대에는 영화나 음악 등 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는 통신기기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속전송부품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저유전특성과 고내열특성 등을 겸비한 그레이드를 제안하고 있다.
또 자동차용 시장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HV)용 파워모듈 케이스 등을 중심으로 채용을 더욱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앞으로 HV와 전기자동차(EV)용 커넥터 수요가 신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내열성, 촌법안정성이 우수한 그레이드를 제안해나갈 방침이다.
폴리플라스틱스는 LCP 사업에서 자동차용 출하비중이 현재 30% 정도로 파악되며 2018년에는 자동차 전장화 흐름을 타고 두자릿수 신장을 기록한 바 있다.
앞으로 LCP 뿐만 아니라 PPS(Polyphenylene Sulf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OM(Polyacetal) 등 다른 소재와 함께 자동차용 제안을 강화할 예정이며, 정보 수집을 통해 LCP의 적용영역을 확대하고 자동차 분야에 대한 출하량을 계속 늘려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면에서는 앞으로 타이완에서 컴파운드 증설을 진행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1개 생산라인을 추가해 2020년 상업가동에 돌입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된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