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이 배터리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에 박차를 가한다.
LG화학은 국내 배터리 생산기업 최초로 광물 관련 글로벌 협의체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및 공급망 관리를 위한 연합)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8년 설립된 RMI는 4대 분쟁광물을 비롯해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의 원산지 추적 조사 및 생산기업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과 인증 등을 실시하는 글로벌 협의체이다.
4대 분쟁광물은 아프리카, 중남미 등 분쟁지역에서 채굴하는 금, 주석, 탄탈륨, 텅스텐을 가리키며 폭스바겐(Volkswagen), 르노(Renault), 애플(Apple) 등 글로벌 자동차 및 IT기업 380여곳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LG화학은 RMI에 가입함으로써 RMI가 확보하고 있는 분쟁광물, 코발트 등 일명 고위험광물의 원산지 및 제련소 등 공급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RMI 협의체에 가입한 글로벌기업들과 공급망 내 사회적· 환경적 이슈 해결을 위한 공조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실제 RMI 회원기업들은 매년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주제로 정례 컨퍼런스를 실시하고 공급망 관리가 취약한 고위험 협력기업에 대해서는 개선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LG화학은 공급망 정보체계 및 공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자체 공급망 실사 및 협력기업 개선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생산기업의 핵심 경쟁력은 지속가능성에 달려 있다”며 “환경 및 인권을 고려한 투명한 공급망은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라고 강조했다.
LG화학이 국내 최초로 RMI에 가입한 것은 고위험광물의 윤리적 구매 등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코발트는 스마트폰, 전기자동차(EV) 배터리의 필수 원재료로 최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채굴·생산과정에서의 아동노동과 같은 인권침해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글로벌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LG화학은 2019년 초 코발트 공급망의 투명성과 추적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미국 IBM, 포드(Ford), 중국 화유코발트(Huayou Cobalt), 영국 RCS Global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블록체인 기술을 시범 도입한 바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