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종이처럼 구길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를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 김윤호 박사팀, 포항공대 정성준 교수팀은 플렉서블(Flexbile) 디스플레이의 난제였던 트랜지스터용 유연·절연소재를 개발하고 제조공정 단순화에 성공했다고 1월16일 발표했다.
트랜지스터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소자로 해상도를 정하는 픽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전극·반도체·절연체로 구성된다.
현재는 무기물 기반의 소재들로 이루어진 트랜지스터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쓰이고 있다.
디스플레이를 자유자재로 구부리거나 접으려면,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적용되는 트랜지스터용 절연체가 유연해야 하며 절연체의 필수조건인 절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공동 연구진은 분자설계를 최적화해 절연성‧유연성‧내열성을 동시에 갖춘 폴리이미드(Polyimide) 기반의 유연·절연소재를 개발하고 트랜지스터 절연체에 적용해 종이처럼 구길 수 있는 유기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다.
절연성을 나타내는 누설전류밀도가 평방센티미터당 1억분의 1암페어 이하로 기존 트랜지스터용 무기 절연체와 유사한 수준이며 350도 이상의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또 기존 폴리이미드 제조에 필수인 200도 이상 고온 열처리 과정이 필요 없는 상온 용액공정을 개발해 제조공정 단순화에도 성공했다.
분자설계를 통해 용매에 녹을 수 있는 폴리이미드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상온에서 1번의 용액 코팅공정으로 폴리이미드 절연 박막을 형성할 수 있었다.
김윤호 박사는 “개발한 폴리이미드 절연소재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공정 환경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면서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인쇄공정 기반 유연전자소자 개발에도 매우 적절한 절연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소재과학 분야 권위지인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12월호에 게재됐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