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산업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2조4000억원에 달하는 유동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자동차산업연합회. 중견기업연합회, 반도체산업협회, 바이오협회 등 26개 기관은 5월29일 오전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포스트-코로나19 주력산업별 비전과 과제를 주제로 제3차 산업 발전포럼을 개최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영상 축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단기 처방을 언급하면서 “비대면 활동이 새로운 일상으로 자리 잡는 가운데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야 하며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국내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고 각국은 제조업 리쇼어링(해외공장 국내복귀) 지원에 나서고 있다”며 “정부도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 과감한 규제 혁신과 투자 유인책 제공 등을 통해 공급망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자동차산업연합회 정만기 회장은 “단기적으로 전자통신 50조원, 자동차 32조8000억원, 기계 15조5000억원, 석유화학 2조4000억원, 섬유 4조6000억원 등 5개 산업 분야에서만 105조3000억원의 유동성 애로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간산업안정기금 40조원과 산업별 특별보증규모 등을 확대하고 금융사각지대에 놓인 해외 현지법인을 위한 특별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코로나19로 미국, 유럽에서 파산이 증가하는 반면 중국은 인수합병(M&A)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강화되고 있어 국내산업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바이오산업 등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입할 기회로 삼도록 노력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를 위해 자동차, 반도체 등 10대 산업에서 2025년까지 설비 221조원, 연구개발(R&D) 90조원 등 311조원을 투자하고 제약·의료기기는 세계 시장점유율을 1.8%에서 2030년 6.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생산량이 4년 연속 감소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타격이 더 크며 단기적으로 개별소비세 감면 연장과 취득세 감면 등 내수 진작책과 부품업계 금융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됐다.
전자산업은 글로벌 시장이 2020년에만 전년대비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후방산업 육성, 스마트 IT제품 대응, 디지털 뉴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조선산업은 수주량이 급감하며 생존기로에 서 있으며 위기극복을 위해 노후 LNG(액화천연가스)선 조기 대체발주 등 수주 지원과 유동성 위험 최소화가 언급됐고, 반도체산업은 하반기 세계 경기침체 등으로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시스템 반도체 역량 강화 등을 위해 신기술 공격적 투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바이오산업은 전략적 제휴 등 노력과 대폭적 연구개발 투자, 규제 혁신 등 정부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