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가 해상운임 급등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며 물류비용 안정화와 경쟁력 저하를 막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정부에 촉구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급등하는 해상운임과 무역 관련기업의 의견을 담은 건의서를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에 제출했다고 9월16일 밝혔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종합지수(SCFI)는 2020년 1분기에 전년동기대비 8.5% 상승한데 이어 2분기에 16.3% 상승했고 3분기에는 7-8월 37.4% 급등했다.
특히, 미국 항로는 7-8월 2개월간 전년동기대비 72.6% 폭등했고 국내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 비중이 24.0%로 높은 동남아, 10.4%인 유럽연합, 6.4%인 일본 항로의 운임도 상승하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석유화학은 중국, 동남아시아, 미국 수출비중이 큰 편이어서 해상운임 급등에 따라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
무역협회는 해상운임 급등의 원인으로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글로벌 교역 부진에 따른 선사들의 운용 선박 수 축소 ▲물동량 회복세에도 선사들의 수익 증대를 위한 선박 추가공급 지연 ▲중국발 물동량 급증에 따른 선박 공급의 중국 쏠림현상 등을 지목했다.
관계자는 “일부 대형 선사들이 높은 프리미엄(추가 운임)이 형성된 중국발 화물운송을 위해 국내 수출기업과 장기 운송계약을 맺은 선박까지 중국에 우선 배치하고 있어 화물운송에 차질이 크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무역협회는 글로벌 선사들의 과도한 운임수취 및 일방적인 장기계약 변경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와 한국 물동량에 대한 선복 배정 유도 및 지원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한국선주협회에는 선·화주 계약 준수, 선주의 적정이윤 수취 등 해상운임 급등과 관련한 협력과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