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특허]

 

양자컴퓨터는 고전 컴퓨터의 비트(0 또는 1) 대신 큐비트(0이면서도 1)로 연산하는 신개념 컴퓨터로 화학제품, 신약 개발에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고전 컴퓨터의 비트 10개는 2를 10번 곱한 1024가지 경우의 수를 나타낼 수 있으나 최적값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번에 하나씩 1024번 연산을 반복해야 하는 반면, 양자컴퓨터의 큐비트 10개는 1024가지 경우의 수 연산을 한번에 끝냄으로써 최적값을 찾아낼 수 있고 경우의 수가 무한대로 많은 빅데이터 연산, 특히 바이오 기술 분야에서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양자물리학 원리 적용한 신개념 컴퓨터
현존하는 세계 최강 슈퍼컴퓨터는 IBM의 서밋으로 초당 33경번의 연산능력과 함께 77만5000개의 중앙처리장치(CPU), 3만4000개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갖추고 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을 계기로 8000여개 화합물을 분석해 치료제 후보물질 7개를 추렸지만 이를 능가하는 성과를 내놓지는 못했다. 각국 연구진들도 기존 약물 재활용 이상의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언제 더 강력하게 출현할지 모르는 미지의 바이러스 퇴치 기술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슈퍼컴퓨터보다 수십억배 이상 빠른 양자컴퓨터가 주목받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양자물리학의 원리를 적용한 신개념 컴퓨터로 비트 단위로 계산하는 기존 컴퓨터와 달리 큐비트 단위를 이용해 정보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수조개에 달하는 인체 내 세포와 단백질, DNA 등의 상호작용 분석에서 슈퍼컴퓨터보다 월등한 성능을 자랑하고 있다.  
구글(Google)은 2019년 10월 양자컴퓨터 시커모어(Sycamore)를 내놓으며 일반 슈퍼컴퓨터보다 15억배 빠른 성능을 가졌다고 발표했다. 구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2015년 12월 슈퍼컴퓨터보다 1억배 빠른 컴퓨터라고 소개한 지 4년이 안돼 연산성능을 15배 강화했다.
Market Research Future에 따르면, 세계 양자컴퓨터 시장은 2019년 8억200만달러에서 2023년 28억2200만달러로 5년간 3배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슈퍼컴퓨터 8억4000만년을 단 1초에…
양자컴퓨터는 인공지능(AI)과 동전의 앞뒤 관계인 빅데이터 최적화 문제를 가장 잘 풀 수 있는 꿈의 컴퓨터로 평가되고 있다.
양자컴퓨터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최적화 문제는 배송으로, 택배기사가 출발해 하루 5곳을 돈다고 가정하면 가능한 경우의 수가 120가지(5×4×3×2×1)이고 최단거리를 찾아내는 것이 어렵지 않으나 배송지가 늘어날 때마다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해결이 어렵다. 10곳이면 362만8800가지(10×9×…×2×1), 15곳이면 1조3076억7436만8000가지로 15곳까지는 슈퍼컴퓨터로도 0.001초 안에 최단거리 계산을 끌어낼 수 있다.
30곳이 되면 슈퍼컴퓨터로도 8억4000만년 이상 걸리나 구글이 2019년 공개한 15억배 빠른 양자컴퓨터 시커모어를 사용하면 30곳 배송 문제를 1초 안에 풀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송 문제는 가로축을 배송지(A, B, C…), 세로축을 방문 순서(1, 2, 3…)로 정한 행렬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행렬 각 항을 큐비트로 대응시키면 바둑판 같은 격자 모형(아이징 모형)이 된다.
양자컴퓨터 칩세트(프로세서)를 뜯어보면 격자 모형으로 돼 있고 격자 모형은 함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함수의 최소값을 구하는 것이 양자컴퓨터의 연산 결과이다.

 

미국 주도로 글로벌 개발 경쟁 본격화
양자컴퓨터의 구동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최초의 상용 양자컴퓨터인 미국 D-웨이브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아날로그 양자컴퓨터는 극저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 자석을 활용하고 있으며 분자구조 시뮬레이션(양자화학)에 특화돼 있다.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이다.
양자컴퓨터는 연산능력이 뛰어나 수십억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DNA, 수조개의 인체 세포에 작용하는 경우의 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이오븀 등 초전도 금속으로 만든 반지 모양 회로를 영하 273도에 가깝게 냉각하면 좌우 방향으로 회오리치듯 전류가 흐르고, 전류의 방향으로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단위인 큐비트를 구현하며, 큐비트 간 얽힘을 조절하면서 최적화 문제의 해답을 찾아낼 수 있다.
최초의 상용 양자컴퓨터는 2011년 미국 록히드마틴이 도입한 아날로그 방식의 D-웨이브 1이고, NASA와 구글은 2015년 말 1억배 빠른 양자컴퓨터 D-웨이브 2X를 도입했다.
미국은 2018년 글로벌 양자컴퓨터 주도권을 잡기 위해 국가 양자이니셔티브(NQI) 법률을 제정한 후 NASA, 국방부, 국립과학재단(NSF), 국가안보국(NSA), 정보고등연구기획국(IARPA),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탠퍼드대학 등이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다.
영국도 2014년 수상 직속 공학‧자연과학 연구위원회(EPSRC) 주도로 국가 양자기술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3억4200만달러를 투자키로 했으며, 일본은 문부과학성 주도로 슈퍼컴퓨터를 능가하는 양자컴퓨터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양자화학 문제 해결에 ICT 최적화 기술 부상
양자컴퓨터는 미래를 바꿀 기술로 5년 이내에 2가지 분야에서 판도를 바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첫째는 양자화학 문제를 양자컴퓨터로 푸는 것이고, 둘째는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ICT(정보통신기기) 분야 최적화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양자화학 분야에서는 새로운 물질 발견, 개인 맞춤형 신약 개발 등이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고효율 배터리 개발을 위한 2차전지용 물질 연구, 새로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물질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방대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AI와 서비스 최적화 분야에서도 양자컴퓨팅이 널리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천만대의 자동차 동선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최적화된 자동차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컴퓨팅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자컴퓨터 활용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컴퓨팅 기술은 이론적으로 지금보다 100만배 이상 성능을 개선할 여지가 있지만 현재 메모리 반도체와 CPU 등을 만드는 실리콘 기반 기술이 한계로, 양자컴퓨팅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삼성SDS, 현대자동차, LG전자 등이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술 격차가 커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경쟁력 확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은 2018년부터 5년간 양자컴퓨팅 분야에 12억달러(약 1조4000억원)를, 중국은 5년간 1000억위안(약 16조5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한국은 2019년부터 5년간 큐비트급 양자컴퓨팅 실증기술 개발을 목표로 445억원을 투자한다.

 

글로벌 IT 강자도 양자컴퓨팅 주도권 다툼
양자컴퓨팅(Quantum Computing)이 차세대 먹거리를 위한 핵심 기술로 부상하면서 글로벌기업의 주도권 싸움도 치열해지고 있다.
구글은 2019년 10월 자체 개발한 양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슈퍼컴퓨터로 1만년 걸리는 연산(난수 증명 문제)을 200초 만에 풀 수 있다고 발표하고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가 세계 최강의 슈퍼컴퓨터로 불리는 IBM의 서미트를 눌렀다고 자랑했다.
양자컴퓨터가 기존 슈퍼컴퓨터의 연산능력을 능가하는 양자 우월성(Quantum Supremacy)을 달성한 최초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9년 11월 클라우드 기반 양자컴퓨팅 서비스 애저 퀀텀을 선보였고, 12월에는 아마존 웹서비스(AWS)가 클라우드와 양자컴퓨터를 결합한 브라켓 서비스를 내놓았으며, 반도체 강자인 인텔도 양자 프로세서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양자컴퓨팅 시장에 글로벌 IT 공룡들이 앞다퉈 뛰어드는 것은 수학적 난제에 해당하는 계산문제를 아주 빠르고 적은 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완벽한 양자컴퓨터를 만들려면 앞으로 10년 정도가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되나 특정분야에서는 현재 기술로도 연산능력이 슈퍼컴퓨터를 앞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저널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