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CO2)를 고체 탄산염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고동연 교수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건설소재 등 부가가치 높은 자원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월23일 밝혔다.
최근 이산화탄소를 탄산칼슘 등 고체 탄산염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고체 탄산염은 건설‧토목 소재, 제지산업, 고분자, 의학, 식품, 정밀화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중공사막 형태의 초투과성 분리막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초투과성 중공사막 모듈에 이산화탄소·질소 혼합 기체를 흘려보내면 이산화탄소만 빠르게 분리막을 가로질러 중공사막 외부의 알칼리 이온과 반응해 탄산염이 생성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체 탄산화 시스템은 기존 공정 유닛과 비교해 부피는 5분의 1에서 20분의 1 수준이면서 물질전달 효율은 1.5배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부피 대비 표면적이 기존 시스템보다 몇배 이상 높아 장시간 연속공정이 가능한 만큼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고동연 교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발전소나 제철소·시멘트 생산기업 등 관련 산업계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자원 재순환으로 경쟁력을 높이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황영은 박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은 국제 학술지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10월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K)
배재영
2021-01-17 19:19:37
평점 :
배재영
2021-01-17 19:19:37
평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