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업황이 크게 개선됐다.
산업연구원은 11월11-17일 국내 주요 업종별 전문가 173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를 조사한 결과 11월 제조업 업황 PSI가 133으로 집계돼 전월의 124보다 상승했고 6개월 연속 100을 넘은 동시에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대비 증가(개선) 의견이,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 의견이 많음을 의미
하고 있다.
11월 내수 PSI는 129로 전월(119)보다 올랐고 수출도 133으로 전월(122)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생산은 123으로 5개월 연속 100을 상회했으며 투자액은 96으로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채산성은 105으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화학산업은 144, 섬유산업은 135로 개선됐고 반도체는 92로 4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2월 업황(전망) PSI는 120으로 전월의 119 대비 개선세가 예상됐고 6개월 연속으로 100을 상회했다.
내수(121), 수출(118), 생산(111)이 모두 100을 상회했다. 다만, 내수는 전월 수준을 유지했으나 수출과 생산은 전월대비 하락해 추가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투자액은 96으로 100을 하회하는 동시에 전월보다 소폭 낮아졌다.
화학산업이 124로 상승한 반면 휴대폰(110), 디스플레이(123), 자동차(129) 등 주요 전방산업은 하락했다.
반도체는 88로 2개월째 상승세를 보였지만 5개월 연속 100을 하회해 여전히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