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2025년까지 58조원 투자 … 반도체‧LiB 해외기업 유치 적극화
정부가 스마트 모빌리티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등 핵심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해 2025년까지 약 5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도로나 교통 인프라, 물류 시스템의 디지털화를 추진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스마트 시티 솔루션을 개발해 국내 도시에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 LiB(리튬이온전지), 센서, 반도체 등 화학소재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는 사물인터넷(IoT), AI, 빅데이터를 활용해 도시 교통을 스마트화하는 것으로, 전기자동차(EV), 자율주행 자동차를 비롯한 차세대 자동차나 자동차 공유 서비스 등을 활용함으로써 교통체증이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동차 뿐만 아니라 철도나 차세대형 노면전차 시스템(LRT)과 조합한 곳도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미 인천에서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모빌리티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1차적으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체제를 정비한 후 AI를 활용해 교통 인프라와 각종 산업을 기술적으로 통합하고 5G(5세대 이동통신) 및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해킹 우려가 있어 자체적인 보안 시스템인 K-사이버 검역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 정책에는 삼성, LG 등 전자 대기업과 인터넷기업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정부는 5G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5G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육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5G가 자동차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기술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뉴딜 정책은 기본적으로 국내기업만을 지원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국내에 투자한 외국기업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투자액에 상관없이 국내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면 국내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디지털 뉴딜도 동일 선상에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인 직접투자액(FDI)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FDI는 2019년 233억달러로 역대 2위를 기록했고 최근 5년 평균 230억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화학부문 투자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2020년에는 정부가 스마트 모빌리티를 적극 추진하면서 핵심인 수소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외국인 투자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1200곳으로 확대해 총 526만톤의 수소를 공급할 계획이고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외국인 투자자와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반도체 분야에서도 메모리 반도체의 뒤를 이어 시스템반도체를 적극 육성하고 있고 금융‧세제 우대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실리콘(Silicone) 웨이퍼 3위인 타이완의 MEMC가 천안공장 증설 프로젝트를 확정했고, 미국 반도체 장치 생산기업도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신규투자를 결정했다.
최근에는 LiB 분야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규투자가 거론되고 있다.
한편, FDI는 제조업, 유통, 부동산, 관광, 소비재, 문화‧컨텐츠 등 대상이 다양하며 제조업 비중이 가장 크고, 특히 화학산업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화학산업 FDI는 2019년 39억4500만달러로 전년대비 17% 급증해 기계설비‧의료정밀 11억6200만달러, 전기‧전자 10억8900만달러, 제약 3억2800만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제약을 제외한 화학산업 생산액은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27%에 달하고 있다. 자동차가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순으로 파악된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