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I(Methylene di-para-Phenylene Isocyanate)가 톤당 3000달러를 돌파했다.
MDI는 주요 원료 벤젠(Benzene) 가격이 급등하고 미국 텍사스 한파로 공급이 정체된 영향으로 글로벌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함에 따라 아시아 가격도 함께 급등하고 있다.
아시아 가격은 2020년 봄 1300달러에 불과했으나 2021년 3월 3000달러 이상으로 2배 이상 올랐다.
MDI는 글로벌 수요가 750만톤으로 연평균 4-5%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수요가 250만톤에 달하는 가운데 북미가 150만톤 이상, 서유럽이 120만톤으로 파악되고 있다.
글로벌 생산능력은 850만톤이며 2019년부터 공급과잉 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2018년부터 사다라케미칼(Sadara Chemical)과 헌츠만(Huntsman)이 각각 사우디와 중국 상하이(Shanghai)에 건설한 신규 플랜트를 상업가동했고 바스프(BASF)도 중국 충칭(Chongqing) 플랜트의 가동률을 높인 영향으로 파악된다.
2020년에는 공급과잉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수요가 급감하며 아시아 가격이 1300달러로 폭락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수요가 회복되며 과잉상황이 개선됐고 해상운임 급등 사태까지 겹친 가운데 2021년 2월 들어 벤젠 가격이 급등해 다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아시아 벤젠 가격은 2020년 4월 200달러대 중반으로 약세를 나타냈으나 6월 400달러대를 회복했고 11월부터 국제유가 강세를 타고 상승해 700달러를, 2021년 2월에는 큰 폭으로 급등함으로써 900달러에 도달했다.
미국의 공급차질과 국내기업의 감산도 아시아 MDI 가격 상승에 일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에서는 텍사스 지역을 강타한 한파로 MDI 생산기업 4사가 불가항력을 선언했고, 국내기업 1사는 원료 가스 부족으로 2월 말부터 가동률을 낮추고 있다.
PMDI(Polymeric MDI) 중국 내수가격은 춘절 연휴 직전까지 1만8000위안 수준이었으나 3월 초 2만8000위안으로 급등했다.
아시아 가격이 3000달러 이상으로 급등하면서 인디아 수출가격도 3500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2020년 PMDI 수요가 전년대비 9% 증가했고 MMDI(Monomeric MDI) 역시 소폭이지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