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클]

 

동남아시아의 화학‧음료 메이저들이 플래스틱 리사이클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다.
동남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의 폐플래스틱을 해양에 배출하고 있는 지역이며 최근 각국 정부가 폐기물 감축 정책을 잇달아 내놓으며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와 타이가 병(Bottle)용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포장용 폴리올레핀(Polyolefin) 리사이클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나, 폐플래스틱 회수망 안정화나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음료‧식품 메이저가 리사이클 선도
인도네시아에서는 음료‧식품 메이저들이 PET 리사이클을 주도하고 있다.
프랑스 식품 메이저 다농(Danone)은 2021년 6월 베올리아(Veolia)와 함께 자바(Java)섬 동부에서 리사이클 공장을 상업 가동했으며, 미국 코카콜라(CocaCola)도 4월부터 자바섬에 다농-베올리아 공장과 비슷한 수준의 리사이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다농은 병 음료 브랜드 아쿠아(Aqua)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으며 현지에서 PET병을 회수하고 고상중축합 프로세스로 기계적 리사이클(Mechanical Recycle)을 실시하는 Namasindoplas에게 위탁해 100% 재생 PET병을 생산하고 있다.
자바섬에 건설하는 새로운 리사이클 공장에서는 PET병에 사용할 식품 그레이드 재생 PET를 자체 생산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중국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해양 폐플래스틱 배출량이 많은 국가이며 정부가 2021년 7월 폐플래스틱 회수능력을 2030년까지 현재의 3배인 430만톤으로 확대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인도네시아 국가규격(SNI)을 통한 식품용 재생 PET 적용기준 정비가 이루어진 상태이며 글로벌 PET 메이저인 인도라마(Indorama Ventures)도 인도네시아에 재생공장을 건설함으로써 재생소재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타이, PTT‧SCG 중심 화학기업 투자 선도
식품 수출대국인 타이에서는 화학기업 주도 아래 포장소재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을 대상으로 한 리사이클 사업이 진전되고 있다.
PTT Global Chemical(PTTGC)은 2021년 말 오스트리아의 수지 포장 메이저이면서 수지 재생 관련 노하우까지 갖춘 알프라(Alpla)와 함께 식품접촉용 투입이 가능한 재생 PET와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생산을 시작했다.
SCG(Siam Cement Group) Chemicals은 2021년 초 화학산업이 집적된 타이 동부 라용(Rayong)에서 타이 최초의 화학적 리사이클(Chemical Recycle) 실증설비를 가동했다. 수지 원료 생산능력은 4000톤이며 추후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SCG Chemicals은 프랑스 수에즈(Suez)가 타이공장을 통해 리사이클한 재생 LDPE(Low-Density PE)와 LLDPE(Linear LDPE) 판매도 담당하고 있다.
다만, 타이는 인도네시아와 달리 규제상 재생 플래스틱을 식품포장용으로 투입하기 어려우며 현재는 껍질을 까지 않은 과일류 포장에만 재생 플래스틱을 사용하고 있다.
PTTGC와 SCG Chemicals은 수년 전부터 규제 완화를 촉구하고 있으며 정부도 법 정비를 추진했으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지연되고 있다.

 

동남아, 플래스틱 폐기가치 60억달러
동남아의 해양 폐플래스틱 문제는 재생능력을 뛰어넘는 폐플래스틱이 유럽‧미국 등 선진국으로부터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말레이지아는 오염된 폐플래스틱 컨테이너를 수출국으로 되돌려보내고 있으며 2019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총 270기를 송환할 정도로 선진국에서 유입되는 양이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2021년 1월 바젤조약 개정안이 발효되며 오염된 상태여서 리사이클에 적합하지 않은 폴리올레핀이나 PET, PC(Polycarbonate) 수출이 금지됨에 따라 동남아 역내에서 적절한 플래스틱 리사이클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2021년 3월 동남아가 PET, LDPE, HDPE, PP(Polypropylene) 등 플래스틱을 리사이클하지 않고 폐기함으로서 연간 60억달러의 가치가 상실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말레이지아, 타이, 필리핀 3개국은 리사이클률이 25%에 머무르고 있으나 앞으로 재생 사업이 활성화될 잠재력을 가장 많이 갖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정수준의 인구와 폐플래스틱 배출량을 확보해야만 대형 리사이클 설비 건설 수요가 있기 때문이며 인구가 1억명에 달하는 베트남도 유력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리사이클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폐플래스틱 회수 등 비공식적인 영역을 투명성 높은 리사이클 체인으로 바꾸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되며, 지역사회와 장기간에 걸쳐 협력함으로써 리사이클 체제를 전반적으로 투명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 SKC가 가입하고 글로벌 화학 메이저와 식품‧잡화 브랜드들이 가입한 비영리 조직 AEPW(플래스틱 폐기물 근절을 위한 글로벌기업 모임) 역시 지역 주민에게 폐플래스틱 관리와 관련된 교육 혹은 취업기회를 제공하고 리사이클 수익을 지역사회외 환원하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AEPW가 중시하는 시장 중 하나이며 발리(Bali)섬 등 여러곳에서 폐플래스틱의 MR(Material Recycle)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타이, 민간단체 중심으로 EPR 제도 제안
타이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타이는 정부가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폐플래스틱 관리, 리사이클을 추진하고 있으나 민간기업들은 최근 선진국에서 채용하고 있는 EPR을 주목하고 있다.
타이 공업연맹(FTI) 산하 단체는 폐기물 회수에서 재자원화에 이르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소비재 생산기업 등을 모집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타이 정부가 폐기물 관련 정책에 소홀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민간기업들은 사회적으로 환경과 관련된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행정 시스템의 미비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타이에서는 식품‧음료, 포장재 생산기업 등이 가입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포장 리사이클 관리기관(TIPMSE)이 주도해 EPR 개념을 이용한 폐기물 순환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TIPMSE는 가입기업으로 글로벌 소비재 메이저인 네슬레(Nestle), 유니레버(Unilever), 타이 음료 메이저 타이비버리지(Thai Beverage) 뿐만 아니라 SCG, 다우(Dow) 등 화학기업도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일본 카오(Kao), 산토리(Suntory), 테이진(Teijin) 등도 가입하고 있다.
폐플래스틱 회수업무 등록제도를 도입하고 폐기물 처리장을 정비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EPR 모델 사례를 시험하는 팩백(Pack Back)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소비자가 배출하는 폐플래스틱 회수부터 리사이클, 재자원화까지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플래스틱 외에 유리, 종이박스, 음료용 종이팩, 알루미늄을 리사이클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모델 사례는 촌부리(Chonburi)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을 목적으로 공업단지, 해수욕장, 섬 등 각각 다른 특징을 보유한 3개 지역을 선정했고 앞으로 회수, 리사이클 등을 담당하는 곳을 결정할 방침이다.
참여기업 입장에서 회수, 재생 이외에 폐기물과 관련된 새로운 대책을 시험할 수 있는 환경이 정비되는 이점이 부각되고 있다.
민간기업은 EPR과 같은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코스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나 타이기업들은 솔선해 EPR 도입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타이 정부가 폐기물 관리 관련 정책에 소홀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타이 정부는 폐기물에 대한 세금 부과를 추진하고 있으나 회수‧리사이클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회수는 사람들이 손으로 직접 폐기물을 수집하는 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대규모화, 효율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세금이 폐기물 관리환경 개선에 유효하게 이용될지 불신이 만연한 것도 민간기업 주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TIPMSE, 법률 정비 목표로 워킹그룹 조성
TIPMSE는 폐기물 관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법률 정비를 뒷받침하기 위해 관계기관 담당자가 참여하는 EPR 관련 워킹그룹을 조성할 예정이다.
EPR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운영체제, 부담금 등에 관한 법률 정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러 정부기관과 함께 폐기물 회수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조율하고 EPR 관련 지식을 공유함과 동시에 법률 마련을 촉진할 계획으로 폐기물을 관할하는 내무부가 비공식적으로 워킹크룹에 대한 참여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TIPMSE는 2022년부터 4년 동안 모델 사례를 적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프로젝트 마지막 단계에는 축적한 데이터와 지식을 활용해 법률 정비에 대한 논의를 뒷받침할 방침이다.
다만, 논의를 시작한 후 법률이 마련되기까지 3-5년이 소요됨에 따라 타이 전역에서 EPR에 따른 폐기물 리사이클을 시작하기까지는 상당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기업 주도로 EPR 관련대책을 계속 추진하기 위해서는 산업계의 EPR에 대한 이해와 협력이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식품 포장재 생산기업들이 EPR 홍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2021년 12월에는 방콕 시내에서 식품‧음료 관계자와 아이돌그룹을 초청해 홍보행사를 개최했다.
사용한 플래스틱은 폐기물이 아니라 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며 집에서도 리사이클에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재생소재 사용제품 보급을 촉진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TIPMSE는 EPR 대응기업의 찬성을 얻기 위해 팩백 프로젝트의 모델 사례를 중시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 kyh@chemlocus.com)


표, 그래프: <동남아 플래스틱 리사이클 프로젝트, 타이 TIPMSE가 제안하는 EPR 모델>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에너지정책] LG화학, 유럽 플래스틱 공세 강화 2025-10-01  
[바이오폴리머] 플래스틱, 바이오 소재도 K-컬처 2025-09-29  
[에너지정책] 폴리에스터, DMT로 리사이클한다! 2025-09-25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리사이클] 플래스틱, 폐소재 회수 집중하라! 2025-10-02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2025-09-26  
화학경영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