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가제]

 

국내 가소제 시장은 수요 부진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경기침체로 폴리머를 포함한 소재 산업의 불황이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가소제 거래가격은 2023년 상반기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PVC(Polyvinyl Chloride) 시장의 지속적인 침체 역시 가소제 수요 부진에 일조하고 있다.
가소제는 PVC의 가소성과 유연성 제고를 위해 사용하며 DEHP(Di-Ethylhex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BP(Dibutyl Phthalate), DIDP(Diisodecyl Phthalate) 등 프탈레이트(Phthalate)계 가소제가 전체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고조됨에 따라 가소제 생산기업들은 소비 심리를 적극 수용해 2007년 어린이 완구·유아용품, 의료용 수액백 등에 DEHP, DBP, BBP(Benzyl Butyl Phthalate) 사용을 제한하기로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유럽 이어 중국·일본도 프탈레이트계 규제 강화
가소제 수요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으로 타격을 받았음에도 최근 수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유럽 등이 규제를 강화하며 DOP(Dioctyl Phthalate)가 DINP로 전환되는 등 구성 품목에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유럽은 RoHS에서 DEHP, BBP(Benzyl Butylphthalate), DIBP(Diisobutyl Phthalate), DCHP(Dicyclohexyl Phthalate), DINP, DIDP 등 7종의 프탈레이트에 대한 리스크 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3년 평가 결과를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2023년 초 중국판 RoHS에 DEHP, DBP, DIBP, BBP 등 4개의 프탈레이트를 추가했고 3-5년 안에 리스크 평가에 나설 계획이다.
일본은 2011년 DEHP를 화학물질심사규제법(화심법)에서 우선평가 화학물질로 지정했고 2021년 3월 1차 평가 1단계에서 2단계로 이행했다. 2024년 이후 리스크 평가를 거침으로써 제2종 특정화학물질 혹은 일반화학물질로 되돌릴 수 있을지 심의할 예정이다.
화학물질배출파악관리촉진법(화관법)에서는 가소제 분야에서 DOA(Dioctyl Adipate)를 2023년 4월1일부로 제1종 지정화학물질로 재지정할 방침이다.

 

한화·LG, 친환경제품으로 반등할까?
국내 가소제 수요는 2022년 상반기 기준 22만톤으로 프탈레이트계 수요가 7만톤 안팎으로 급감해 공급 점유율 32%를 유지했다.
반면, 테레프탈레이트(Terephthalate)계 가소제 수요는 14만톤 수준으로 급증하며 시장점유율 6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한화솔루션, LG화학, 애경케미칼 등이 가소제를 생산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최근 주력제품 DOP 약세가 지속됨에 따라 2022년 4분기 영업이익이 3분기에 비해 47.7% 급감해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으며 2023년 영업이익은 1488억원으로 전년대비 74.7% 격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가소제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 1월부터 울산공장의 친환경 가소제 에코데치 생산능력을 1만5000톤에서 6만5000톤으로 3배 확대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교란으로 아토피, 천식의 원인이 돼 인체에 유해하지만, 에코데치는 수소 첨가 기술로 프탈레이트 성분을 제거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안전성 검사를 통과했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에코데치 공급을 확대하고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친환경 소재를 계속 상업화하겠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은 환경호르몬 이슈와 공급과잉 영향으로 2020년 6월 여수단지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생산에서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수프탈산은 플래스틱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는 가소제의 원료로 투입된다.
2020년 7월에는 울산공장의 가소제 생산라인을 36년만에 철수했고, 2022년까지 총 2300억원을 투자해 나주에 고부가 첨단소재 연구개발센터를 건설하고 친환경 가소제 공장을 증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주공장은 1984년부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생산했으나 환경오염 논란을 고려해 친환경 가소제 생산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은 DOTP(Dioctyl Terephthalate)보다 더 부드럽고 효율이 향상된 친환경 가소제 GL500을 개발해 랩, 벽지, 바닥재, 인조가죽, 호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DIDP 대비 높은 바이오 탄소 함량을 갖춘 논프탈레이트 가소제 BL100 개발에 성공했다.
LG 석유화학연구소 관계자는 “친환경 가소제 시장은 다른 석유화학제품보다 라이프 사이클이 비교적 짧아 다양한 신물질과 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특허를 확보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애경케미칼 역시 최근 폐플래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자원 선순환형 비프탈레이트 가소제(NEO-T+) 개발에 성공해 2023년 상반기부터 양산하고 있다.
OCI는 2016년 논프탈레이트 가소제인 DOTP 전용 생산라인을 증설해 포항공장 DOTP 전용 생산라인에서 생산되는 1만5000톤을 포함해 총 6만5000톤을 생산하고 있다.

 

일본, 2022년 생산량 18만톤으로 감소
일본은 가소제 생산이 줄어들고 있다.
일본은 2021년 가소제 생산량 및 출하량이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 이전 수준을 되찾은 바 있으나 2022년 다시 감소했다.
정기보수가 잇달아 자체 생산량이 줄어든 가운데 수요 자체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을 중심으로 수입량을 2배 늘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소제는 산과 알코올을 합성한 에스테르(Ester) 화합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프탈레이트계는 아디핀산(Adipic Acid)계와 인산(Phosphoric Acid)계, 에폭시(Epoxy)계 등이 있다.
일본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가소제 생산량이 50만톤을 넘었으나 내수가 감소하면서 생산이 점차 줄어들어 현재는 정점 대비 절반 이하에 머무르고 있다.
또 최근 수년 동안에는 생산량이 20만톤대 후반으로 안정됐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자동차, 주택 관련 수요가 줄어들면서 가소제 생산량도 감소한 바 있다.
이후 2021년에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생산량이 21만3085톤으로 전년대비 18.1%, 출하량도 20만8621톤으로 15.0% 급증함으로써 각각 기존의 20만톤대 수준을 회복해 코로나19 이전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2022년 생산량이 18만6974톤으로 12.3%, 출하량 역시 17만7169톤으로 15.1% 급감했다.
수입이 2021년 1만8445톤으로 48.7% 격감한 것과 대조적으로 2022년 1-10월 3만7425톤으로 151.7% 폭증했기 때문에 전체 수요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자체 생산량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판매량에 수입량을 더한 내수는 2021년 22만7327톤으로 4.9% 증가함으로써 코로나19 직격타를 받은 2020년에서 벗어나 23만-24만톤을 유지해온 예년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판단됐다.
2021년에는 일반 필름‧시트용 출하량이 3만355톤으로 2.2%, 컴파운드(전선용) 2만2274톤으로 20.7%, 컴파운드(일반용) 1만9899톤으로 20.3%, 자동차 언더코트실링 1만6701톤으로 36.9%, 전선피복 1만8463톤으로 23.3%, 호스‧개스킷 5851톤으로 19.4%, 벽지 2만4933톤으로 17.1%, 바닥재 3만7107톤으로 16.3%, 신발 871톤으로 38.5%, 기타 1만5232톤으로 32.3% 늘어나는 등 대부분 용도에서 증가했다.
하지만, 농업용 필름은 4352톤으로 19.1%, 레이저 2680톤으로 3.4%, 페인트‧안료‧접착제 역시 1만175톤으로 1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희 기자: kjh@chemlocus.com)


표, 그래프: <일본의 가소제 생산동향>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첨가제] 가소제, 생산체제 유연성 강화 2025-09-22  
[첨가제] 애경케미칼, 수소화 가소제 개발 2025-08-21  
[석유화학] 옥소, 전반 약세 속 가소제도 침체 2025-07-25  
[석유화학] DOP, 가소제 시장의 경고등… 2025-07-18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첨가제] 가소제, PVC·가소제 침체 장기화… DOP 기피에도 약세 불가피 2025-06-27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