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EV)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둔화)의 영향으로 휘발유 수요가 증가했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2024년 1-4월 휘발유 생산량은 6232만배럴로 전년동기대비 17.7%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내수 공급량 역시 역대 최대인 2980만배럴로 9.5% 증가했으며, 수출량도 4036만배럴로 종전 기록을 경신했다.
최근 휘발유 자동차가 증가하면서 국내 정유기업들의 휘발유 생산량과 수출량, 내수량이 일제히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배경에는 휘발유 자동차 증가에 따른 국내외 휘발유 수요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최근 2년간 국내 등록된 휘발유 자동차(휘발유·하이브리드(HV) 포함)는 116만9928대 증가했다.
5월 기준 휘발유 자동차 총 등록대수는 2022년 1287만6000대, 2023년 1346만대, 2024년 1404만6000대로 연평균 4.4% 증가해 국내 시장에서 경유 자동차와 LPG(액화석유가스) 자동차가 감소하고 있는 것과 대조를 이루었다.
5월 기준 경유 자동차 총 등록대수는 938만3000대로 전년동월대비 3.2% 감소했고, LPG 자동차는 184만6000대로 1.5% 줄었다.
전기자동차 수요 일부가 휘발유 자동차로 이전된 것으로도 해석된다. 국내 전기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2022년 16만4324대에서 2023년 16만2507대로 소폭 감소한 반면, 휘발유 자동차(HV 미포함)는 80만2410대에서 82만4570대로 3.0% 증가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아직 비싼 가격과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으로 전기자동차 수요가 감소하면서 내연기관 자동차로 소비자의 관심이 옮겨갔다”며 “배출가스 문제 등에 따른 경유 자동차 거부감으로 휘발유·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으며 산업계가 전기자동차 인기를 견인할 방안을 꺼내놓기까지는 휘발유 자동차 선호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윤)